이번 남북 정상회담 끝에는 합의문이나 공동선언문이 나온다.

일정대로라면 '10·3 남북공동선언'이 되는 식이다.

청와대가 한반도 평화 정착이 주요 내용이 될 것이라고 예고했으나 구체적인 사항은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나누는 대화를 토대로 현장에서 만들어진다.

2000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 정상회담 때는 배석했던 임동원 국정원장,북측에선 지금은 사망한 김용순 노동당 대남담당 비서가 두 사람의 대화를 요약해 '6·15 공동선언문'을 만들었다.

당시 두 정상은 통일 방안을 놓고 토론을 벌였으며,두 배석자가 "남과 북은 남측의 연합 제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 제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한다(2항)"는 말로 정리했다는 후문이다.

2007년 정상회담에선 핵심 배석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김만복 국정원장과 북측의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이 합의 문서 작성의 주요 작업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측에서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도 합석할 수 있다.

회담장 밖에선 서훈 국정원 3차장,조명균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고경빈 통일부 정책홍보본부장 등 실무자가 대기하며 문안 지원을 맡게 된다.

북측에선 최승철 통전부 부부장,권호웅 남북 장관급회담 북측 단장,전종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부장 등이 같은 수준의 지원팀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정상회담이 열리는 2박3일 동안 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최소 6차례는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2일 환영 환담,3일 두 차례 공식 회담과 이어지는 아리랑 공연 관람 및 만찬,4일 환송 오찬 자리다.

이 밖에 김 위원장의 깜짝 영접이 있다면 북의 공식 환영장인 평양의 '조국통일 3대헌장 기념탑'이나 마지막 날인 4일 오전 노 대통령이 둘러보는 남포 평화자동차 공장,서해갑문에 모습을 드러낼 가능성도 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