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들은 노무현 대통령의 청와대 출발부터 평양 도착까지를 거의 생중계하다시피 깊은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한국판 마셜 플랜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파이낸셜타임스)와 이벤트성 행사에 그칠 것(요미우리신문)이라는 식으로 평가는 엇갈렸다. 특히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노 대통령을 차분하게 맞는 장면을 상세히 전했다.


◆남북 정상,상반된 표정에 주목

외신들은 평양 4·25 문화회관의 환영 현장에서 활달한 표정의 노 대통령에 비해 다소 가라앉은 표정인 김 위원장의 대비된 모습에 관심을 표명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은 "김 위원장은 천천히 걸었으며,무덤덤한 표정으로 거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전했다.

AP통신은 서울발 기사에서 "김 위원장은 군중을 향해 가볍게 손뼉을 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차분하게 별다른 감정을 보이지 않았으나 노 대통령은 매우 기뻐하면서 활짝 웃었다"고 전했다.

러시아 이타르타스 통신은 "당초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노 대통령을 영접할 것으로 알려졌었다"며 김 위원장의 깜짝 영접을 자세히 소개했다.

CNN은 노 대통령이 청와대를 출발하기 20여분 전부터 떠나는 모습,군사분계선을 도보로 건너는 장면, 김 위원장이 노 대통령을 영접하는 장면을 실시간으로 전송해 1차 회담 못지않은 관심을 표명했다. 일 교도통신은 "노 대통령과 일행이 북한을 향해 상징적인 발걸음을 내디뎠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고무라 마사히코 일 외상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지역 전체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회담의 성과에 기대감을 표명했다. 톰 케이시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가 남북 정상회담의 의제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6자회담에서 논의되는 비핵화 문제를 두 정상이 확실히해 줄 것을 기대했다.

독일 언론은 "마지막 냉전의 경계를 넘는 역사적인 발걸음"이라고 평가했다.

독일 시사주간지 슈피겔 인터넷판은 노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한국 대통령으로서 처음 군사분계선을 도보로 넘어간 것은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를 정착시키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독일 언론들은 특히 2000년 첫 번째 남북 정상회담 이후 7년 만에 다시 열린 이번 정상회담에서 정전협정 체제가 종식되고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길을 열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더 타임스는 "노 대통령이 군사분계선을 도보로 건너서 북한을 방문하는 순간은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한 국경 장벽이 외교적으로 길이 남을 사건의 무대로 변하는 순간이었다"고 전했다.

◆경제협력 성과는 미지수

회담 전망에 대해 외신들은 한반도 평화 정착과 더불어 경협에 초점을 맞췄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삼성 LG 현대 SK 등 대기업 총수들이 함께 방북한 것에 의미를 부여한 뒤 이번 회담이 남북 공동 번영의 길을 찾아가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한국이 북한에 약 200억달러 규모의 지원과 투자를 제안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그러나 외교적 불확실성 등 넘어야 할 산도 많다고 지적했다.

이번 회담은 집권 5년 동안의 남북관계 개선을 정리하고 또 차기 대통령 선거에서 여당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 대통령과 비교적 북한에 가까운 세력의 집권을 바라는 김 국방위원장의 이해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에서다.

워싱턴포스트는 남한의 레임 덕 대통령과 북한의 예측 불가능한 지도자가 만났다며 냉소적 표현을 동원했다. 이 신문은 "한국은 한 번 더 북한에 가기로 동의함으로써 김 위원장이 한국의 '진정한' 황제라는 북한 내 이미지를 강화하고 노 대통령은 마치 공물을 바치러 방문한 속국 지도자처럼 보이게 됐다"는 퍼시픽 포럼 CSIS 랠프 코사의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정상회담 최대 의제는 경제협력 확대 여부라면서 회담 결과는 남북 경제공동체 등 향후 아시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사히신문,산케이신문 등 다른 일본 신문들도 정상회담 후 발표되는 '남북 평화선언(가칭)'에 구체적인 경제협력 성과가 얼마나 담길지에 관심을 나타냈다.

시사주간지 타임은 정상회담 직전 발행한 최신호(1일자)에서 북한의 실상을 조명하는 데 지면을 할애했다. 타임은 북한이 교육 수준이 높고 비교적 값싼 노동력,풍부한 천연 자원 등 매력적인 요소가 충분하지만 핵 위기,일관성 없는 정책,정치 상황의 변화 가능성 등 위험 요소도 도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인한/김유미 기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