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쓸수 있는 돈' 줄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금과 사회부담금 등 비소비성 지출이 소득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계가 소비 또는 저축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가처분소득의 소득 내 비중은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기준으로 전국 가구의 소득에서 가처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 88.9%에서 2007년 87.1%로 떨어졌다.
가처분소득이란 가계의 소득에서 조세 사회보험료 타가구송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금액이다.
이처럼 가처분소득 비중이 하락한 것은 소득보다 비소비지출 증가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올해 2분기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9만2000원으로 4년 전인 2003년 2분기 256만7000원에 비해 20.4% 증가했다.
반면 전국 가구의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같은 기간 28만6000원에서 39만8000원으로 38.9% 늘어났다.
비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의 두 배에 육박한 것이다.
항목별로 보면 가계의 월평균 조세지출은 6만3000원에서 9만원으로 무려 43.9% 증가했고,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부담은 6만2000원에서 7만7000원으로 24.4% 늘어났다.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지출은 월평균 5만3000원에서 7만원으로 33.8% 증가했고,교육비 생활비 등 사적 송금이 포함된 기타비소비지출은 10만9000원에서 16만원으로 46.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
이에 따라 가계가 소비 또는 저축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가처분소득의 소득 내 비중은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기준으로 전국 가구의 소득에서 가처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 88.9%에서 2007년 87.1%로 떨어졌다.
가처분소득이란 가계의 소득에서 조세 사회보험료 타가구송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금액이다.
이처럼 가처분소득 비중이 하락한 것은 소득보다 비소비지출 증가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올해 2분기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9만2000원으로 4년 전인 2003년 2분기 256만7000원에 비해 20.4% 증가했다.
반면 전국 가구의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같은 기간 28만6000원에서 39만8000원으로 38.9% 늘어났다.
비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의 두 배에 육박한 것이다.
항목별로 보면 가계의 월평균 조세지출은 6만3000원에서 9만원으로 무려 43.9% 증가했고,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부담은 6만2000원에서 7만7000원으로 24.4% 늘어났다.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지출은 월평균 5만3000원에서 7만원으로 33.8% 증가했고,교육비 생활비 등 사적 송금이 포함된 기타비소비지출은 10만9000원에서 16만원으로 46.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