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어제 평양에서 오전과 오후 두 차례에 걸쳐 남북 정상회담을 가졌다.

합의내용은 오늘 공식 발표된다. 두 정상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방안과 경제협력 강화 방안을 집중 논의하고 대체적 의견 접근을 이뤘다고 한다.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해 두 정상은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거듭 확인하는 한편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비무장지대(DMZ)를 평화벨트로 묶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도 타결된 상황이어서 두 정상의 이번 합의는 남북간의 신뢰회복 및 평화와 공존의 시대를 열어가는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두 정상은 경제협력 강화 방안과 관련해 개성공단과 경의선 철도, 금강산 관광 등 3대 경협사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 해주와 남포 신의주 등에 제2의 공단을 조성하거나 특구를 개발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서울과 평양에 '남북 경제협력 사무소'를 상주시키는 방안도 거론됐고 민간경제인 등이 참여한 경제분야 간담회에서는 실무 차원에서의 경제협력 증진 방안이 구체적으로 협의됐다.

남북이 경제공동체를 향해 한발짝 다가선 셈이다.

이번 정상회담은 노 대통령이 출발전부터 강조했듯 실무적 회담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고 볼 수 있고 실제 성과 또한 적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된다.

임기말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무슨 큰 의미가 있겠느냐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평가절하에도 불구하고 남북이 대화와 실질적 협력 체제로 나아가는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본다.

이제 과제는 정상간의 합의를 실행에 옮길 방법과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율해 나가는 일이다.

이번 정상회담이 성공적이었느냐 여부는 결국 앞으로의 진행과정에 따라 결론날 수밖에 없는 만큼 남북 관계자들은 최선을 다해 보다 효과적인 실천계획을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경협이 일방적 퍼주기로 이어지는 결과가 초래(招來)돼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합의 내용을 실천하기 위해선 수조원에 이르는 자본이 투입돼야 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고 이는 결코 적은 부담이 아니다. 그런 만큼 양측 모두에 이익이 될 수 있도록 적절히 균형을 맞추지 않으면 안된다. 북한 내에서 우리 기업인들의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돼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