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희 신임 소비자원장 "소비자ㆍ기업 조정자 역할에 충실 … 무리한 요구 블랙컨슈머 막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비자 보호의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기업에만 일방적으로 부담을 지울 수는 없습니다.
소비자와 기업 간 조정자(coordinator) 역할을 충실히 하겠습니다."
박명희 신임 한국소비자원 원장(59·사진)은 8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간담회를 갖고 분쟁조정 전문기관인 소비자원이 '조정의 묘미'를 살려 소비자들의 불만을 처리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전임 이승신 원장(건국대 교수)에 이어 두 번째 민간 공모를 통해 취임한 박 원장은 2002년부터 녹색소비자연대 공동대표를 맡는 등 시민단체에서 활발하게 활동해 왔다.
이 때문에 박 원장 취임 후 소비자원이 기업체와 대립각을 세울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박 원장은 "소비자에게 신경을 많이 쓰고 소비자에게 잘하는 기업도 적지 않다"며 "어려운 기업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다 채우는 건 부담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무리한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블랙 컨슈머'(black consumer)의 폐해를 막고 소비자와 기업 간 건강한 관계가 형성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소비자원을 단순한 소비자 고충처리 기관에서 '소비자 분쟁 해결 및 정책 수립 전문기관'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소비자 권익 관련 제도 및 정책 연구·건의 △물품·용역의 규격 품질 안전성 등에 대한 시험검사 및 조사 △소비 생활의 합리화와 안전을 위한 정보 제공 등을 주요 업무로 제시했다.
또 소비자 종합 정보망 구축을 통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소비자 변화 예측을 강화해 정책 제안에 적극 나서는 것을 장기 과제로 꼽았다.
박 원장은 소비 생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들을 적극 찾아나설 계획이다.
특히 권역화하는 세계 소비시장의 추세에 맞춰 동북아 및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가입국들과 소비 정보 관련 네트워크를 강화할 방침이다.
그는 개인적인 소비 원칙으로 '질 좋은 제품을 사서 오래 쓰는 것'이라고 소개한 뒤 건전한 소비문화를 정착시켜 '사치품 소비 1위국'이란 오명에서 벗어나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소비자와 기업 간 조정자(coordinator) 역할을 충실히 하겠습니다."
박명희 신임 한국소비자원 원장(59·사진)은 8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간담회를 갖고 분쟁조정 전문기관인 소비자원이 '조정의 묘미'를 살려 소비자들의 불만을 처리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전임 이승신 원장(건국대 교수)에 이어 두 번째 민간 공모를 통해 취임한 박 원장은 2002년부터 녹색소비자연대 공동대표를 맡는 등 시민단체에서 활발하게 활동해 왔다.
이 때문에 박 원장 취임 후 소비자원이 기업체와 대립각을 세울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박 원장은 "소비자에게 신경을 많이 쓰고 소비자에게 잘하는 기업도 적지 않다"며 "어려운 기업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다 채우는 건 부담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무리한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블랙 컨슈머'(black consumer)의 폐해를 막고 소비자와 기업 간 건강한 관계가 형성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소비자원을 단순한 소비자 고충처리 기관에서 '소비자 분쟁 해결 및 정책 수립 전문기관'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소비자 권익 관련 제도 및 정책 연구·건의 △물품·용역의 규격 품질 안전성 등에 대한 시험검사 및 조사 △소비 생활의 합리화와 안전을 위한 정보 제공 등을 주요 업무로 제시했다.
또 소비자 종합 정보망 구축을 통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소비자 변화 예측을 강화해 정책 제안에 적극 나서는 것을 장기 과제로 꼽았다.
박 원장은 소비 생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들을 적극 찾아나설 계획이다.
특히 권역화하는 세계 소비시장의 추세에 맞춰 동북아 및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가입국들과 소비 정보 관련 네트워크를 강화할 방침이다.
그는 개인적인 소비 원칙으로 '질 좋은 제품을 사서 오래 쓰는 것'이라고 소개한 뒤 건전한 소비문화를 정착시켜 '사치품 소비 1위국'이란 오명에서 벗어나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