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후문 출입이 취재 선진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늘부터 기자들은 이 문으로 출입하지 못합니다.
후문으로 돌아가십시오."
월요일 아침 출근 길,외교통상부 기자실로 가다 청사 입구에서 제재를 당했다.
아침 인사말을 나누다가 머쓱해진 당국자와 기자들은 하릴없이 당국자는 정문으로,기자들은 후문으로 흩어져 들어갔다.
외교부 경비를 서는 의경들은 "그렇게 하라고 공문이 왔다"고 했다.
공문이 누구한테서 왔냐는 질문에는 "말하기 곤란하다"고 했다.
책임자를 수소문해보니 행정자치부 소속인 정부청사 출입관리소 방호계장이 "기자들은 앞으로 정문을 통과할 필요가 없다.
정문으로 출입할 땐 별도의 출입증(방문증)을 받으라"고 했다.
그러면서 "외교부 서문(후문)이 국정홍보처가 관리하는 프레스룸 전용문"이라고 말했다.
국정홍보처는 처음엔 "그런 공문을 보낸 적이 없다"고 했다가 이내 "행자부 출입관리소에 서문을 열어달라고 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국정홍보처가 거짓말을 하거나 행자부가 과잉대응을 하는 것이다.
출입 통제를 당한 기자들은 삼삼오오 모여서 상하이가 조계지구였을 때 황푸공원에 붙어있었다던 "구여화인불진입내(狗與華人不進入內·개와 중국인은 들어가지 못한다)"라는 말을 자조적으로 주고받았다.
정부가 처음 '취재지원 선진화'라는 방안을 내놨을 때,기자들은 지금처럼 반대 일변도가 아니었다.
안에서 개혁이어야지 밖에서 강제는 안 되는 것이었기에 반감이 있었지만 '언론계는 폐쇄성과 특권의식을 버려야 한다'는 국정홍보처의 명분에도 일리는 있다는 의견도 많았다.
각 부처의 기자실을 폐쇄하고 하나로 합쳐 국정홍보처가 관리키로 한 정부 조치에 집단으로 반발한 것은 출입증에 전자칩을 넣으려는 시도 등 기자들의 동선을 통제하려는 시도가 표면화된 후다.
기자들이 반발한 것은 무슨 특권을 지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간이라면 누구나 그렇듯이 감시와 통제에 대한 거부였다.
이날 외교부 출입문 사건으로 정부 방안에 대한 기자들의 불신은 더욱 심해졌다.
국정홍보처는 자기들 의도가 순수하다고 항변하지만 정책은 결과로 평가를 받는 것이다.
기자실 폐쇄조치는 이미 너무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정지영 정치부 기자 cool@hankyung.com
후문으로 돌아가십시오."
월요일 아침 출근 길,외교통상부 기자실로 가다 청사 입구에서 제재를 당했다.
아침 인사말을 나누다가 머쓱해진 당국자와 기자들은 하릴없이 당국자는 정문으로,기자들은 후문으로 흩어져 들어갔다.
외교부 경비를 서는 의경들은 "그렇게 하라고 공문이 왔다"고 했다.
공문이 누구한테서 왔냐는 질문에는 "말하기 곤란하다"고 했다.
책임자를 수소문해보니 행정자치부 소속인 정부청사 출입관리소 방호계장이 "기자들은 앞으로 정문을 통과할 필요가 없다.
정문으로 출입할 땐 별도의 출입증(방문증)을 받으라"고 했다.
그러면서 "외교부 서문(후문)이 국정홍보처가 관리하는 프레스룸 전용문"이라고 말했다.
국정홍보처는 처음엔 "그런 공문을 보낸 적이 없다"고 했다가 이내 "행자부 출입관리소에 서문을 열어달라고 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국정홍보처가 거짓말을 하거나 행자부가 과잉대응을 하는 것이다.
출입 통제를 당한 기자들은 삼삼오오 모여서 상하이가 조계지구였을 때 황푸공원에 붙어있었다던 "구여화인불진입내(狗與華人不進入內·개와 중국인은 들어가지 못한다)"라는 말을 자조적으로 주고받았다.
정부가 처음 '취재지원 선진화'라는 방안을 내놨을 때,기자들은 지금처럼 반대 일변도가 아니었다.
안에서 개혁이어야지 밖에서 강제는 안 되는 것이었기에 반감이 있었지만 '언론계는 폐쇄성과 특권의식을 버려야 한다'는 국정홍보처의 명분에도 일리는 있다는 의견도 많았다.
각 부처의 기자실을 폐쇄하고 하나로 합쳐 국정홍보처가 관리키로 한 정부 조치에 집단으로 반발한 것은 출입증에 전자칩을 넣으려는 시도 등 기자들의 동선을 통제하려는 시도가 표면화된 후다.
기자들이 반발한 것은 무슨 특권을 지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간이라면 누구나 그렇듯이 감시와 통제에 대한 거부였다.
이날 외교부 출입문 사건으로 정부 방안에 대한 기자들의 불신은 더욱 심해졌다.
국정홍보처는 자기들 의도가 순수하다고 항변하지만 정책은 결과로 평가를 받는 것이다.
기자실 폐쇄조치는 이미 너무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정지영 정치부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