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홍보처가 12일 정부 청사에 있는 11개 부처 기사송고실의 출입문을 일제히 잠그고 기자들의 출입을 전면 봉쇄했다.

기자들이 노트북 컴퓨터 등 개인 소지품을 꺼내려 했으나 홍보처가 자물쇠를 바꾸고 오랫동안 열쇠를 내주지 않는 등 홍보처와 언론계가 정면 충돌하는 양상이다.

30여개 언론사의 부처 담당 기자들은 이날 서울 세종로 중앙청사 복도와 로비에서 기사를 작성하고 김창호 홍보처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기사송고실 폐쇄

중앙청사 11개 부처 기사송고실은 이날 새벽부터 문이 잠겼다.

출입문에는 '정부는 10월1일부터 모든 브리핑을 합동 브리핑센터에서 실시하고 있고 기사송고실을 브리핑센터에 마련해 운영 중'이라는 안내문이 나붙었다.

기자들이 개인 소지품을 꺼내게 해 달라고 요구하자 홍보처는 "사무실 폐쇄 계획을 미리 고지했다"며 오전내 거부했다.

정오께 문이 임시로 열렸으나 인터넷 연결과 전기는 앞서 끊긴 상태였다.

일부 기자들이 국정홍보처를 항의 방문했으나 김 홍보처장은 자리를 비우고 다른 직원들도 응대하지 않았으며 인터뷰도 거부됐다.

정부의 이번 조치에 반대하고 있는 '한국기자협회 취재환경개선 특별위원회'는 김 처장의 사퇴와 책임자 문책을 정부에 요구했다.

◆홍보처장 사퇴 요구


이날 통일부 외교부 교육부 정통부 국세청 등 5개 부처 출입 기자단 간사와 박상범 기자협회 특위 위원장은 정부가 내세운 '취재선진화 방안'을 폐지하지 않는 한 통합브리핑룸 이용과 새 송고실로의 이전을 계속 거부하기로 방침을 정해 정부와 언론계의 화해는 요원해 보인다.

국정홍보처는 각 부처가 기사송고실 운영과 언론 대응을 제대로 못하고 있어 홍보처가 직접 관리하겠다며 기존의 기자실 폐쇄 조치를 밀어붙이고 있다.

홍보처는 또 11월1일부터 각 부처가 발급한 기자 출입증의 효력을 말소시키고 기자들에게 홍보처가 새로 발급하는 출입증으로만 청사 출입을 허용할 계획이다.

통합브리핑룸이 있는 청사 별관은 출입문 관리까지 11월1일자로 행정자치부에서 홍보처 소관으로 넘어간다.

언론계는 이 방안이 기자들의 동선을 통제하고 취재를 제한하는 조치라며 집단 반발해 왔다.

◆야당,"독재 국가에나 있는 일"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주요 당직자 회의에서 "부처 기자실은 부패를 막고 감시하라고 국민이 언론에 제공한 곳"이라며 "정권을 비판하는 언론에 이런 조치를 취하는 것은 독재 국가에서나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비난했다.

이명박 대선 후보도 "군사 정권 때도 이런 일이 있었느냐"고 반문하고 "새로운 역사가 만들어진다"고 비판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이낙연 대변인은 "정부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이렇게 밀어붙이진 말아야 한다"며 "기자단과 충분히 대화하지 못한 건 잘못"이라고 평가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