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사장 82%는 '낙하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전력 토지공사 등 24개 주요 공기업들의 역대 사장 301명 가운데 내부 출신 사장은 5%인 14명에 불과한 것으로나타났다.
반면 군인과 관료,정치인 출신이 82%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1993년 문민정부 출범 이전에는 군 출신 사장이 많았으나 그 이후에는 관료 출신과 정치권에서 공기업 사장으로 가는 경우가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15일 공기업들에 따르면 한국전력 도로공사 토지공사 석유공사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 국내 주요 공기업 24개사의 역대 사장 301명 가운데 재경부와 건교부 행자부 등 정부 부처 관료 출신은 45.2%인 136명에 이르렀다.
군 출신은 22.9%인 69명으로 집계됐으며 정치와 관련됐던 사람은 21.9%인 66명으로 파악됐다.
여기다 경찰 국정원 출신까지 포함하면 그 수가 모두 248명으로,전체의 82.4%를 차지했다.
반면 해당 공기업에서 잔뼈가 굵어 최고위직까지 오른 경우는 4.7%인 14명에 불과했다.
특히 창립 이래 한 명의 내부 사장도 배출하지 못한 공기업은 24개사 중 67%인 16개사(역대사장 169명)에 이르렀다.
해당 공기업은 △가스공사(역대 사장 8명) △농수산물유통공사(13명) △관광공사(20명) △수출입은행(14명) △신용보증기금(16명) 등이다.
아울러 문민정부 출범과 함께 군사정권이 종료됐던 1993년 이후에는 군 출신 공기업 사장의 비율이 9.6%로 그 이전의 33.9%보다 낮아졌다.
그러나 관료 출신은 35.2%에서 57.4%로,정치 관련자는 12.1%에서 33.8%로 각각 올라갔다.
관료 중에서는 재경부 산자부 건교부 출신들이 공기업에 상대적으로 많이 진출했다.
산업은행의 경우 1982년 이후 총재 13명 가운데 12명이 재경부 출신이었다.
또 1993년 이후 수출입은행 총재 6명,1992년 이후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7명,1989년 창립 이후 기술신용보증기금 이사장 7명 모두가 재경부 출신이었다.
KOTRA의 경우 창립 이후 군 출신이 주로 입성했으나 1991년 이후 5명의 사장 모두가 산자부 출신이었다.
내부 출신 사장을 1명이라도 배출한 공기업은 8개사에 불과했다.
해당 인원도 모두 14명에 그쳤다.
해당 기관별로는 △산업은행 4명 △수자원공사 한전 토지공사 각 2명 △코레일 주택공사 기업은행 KOTRA 각 1명이다.
토지공사의 김재현 현 사장과 김윤기(1997년 취임) 전 사장은 실무부서에서 경험을 쌓은 뒤 부사장을 거쳐 사장자리에 올랐다.
KOTRA의 홍기화 현 사장도 1975년 입사 후 30년 만에 사장 자리에 올랐고 수자원공사의 고석구 전 사장도 입사 26년 만에 CEO가 됐다.
민간기업(금융제외)에서 경험을 쌓은 뒤 공기업 사장으로 취임한 사람은 14명에 머물렀다.
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의 장정욱 간사는 "주무부처나 정치권 출신이 공기업 사장으로 내려가면 해당 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이 어려워지는 측면이 있다"면서 "이로 인해 공기업들이 제 역할을 못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고 지적했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
반면 군인과 관료,정치인 출신이 82%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1993년 문민정부 출범 이전에는 군 출신 사장이 많았으나 그 이후에는 관료 출신과 정치권에서 공기업 사장으로 가는 경우가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15일 공기업들에 따르면 한국전력 도로공사 토지공사 석유공사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 국내 주요 공기업 24개사의 역대 사장 301명 가운데 재경부와 건교부 행자부 등 정부 부처 관료 출신은 45.2%인 136명에 이르렀다.
군 출신은 22.9%인 69명으로 집계됐으며 정치와 관련됐던 사람은 21.9%인 66명으로 파악됐다.
여기다 경찰 국정원 출신까지 포함하면 그 수가 모두 248명으로,전체의 82.4%를 차지했다.
반면 해당 공기업에서 잔뼈가 굵어 최고위직까지 오른 경우는 4.7%인 14명에 불과했다.
특히 창립 이래 한 명의 내부 사장도 배출하지 못한 공기업은 24개사 중 67%인 16개사(역대사장 169명)에 이르렀다.
해당 공기업은 △가스공사(역대 사장 8명) △농수산물유통공사(13명) △관광공사(20명) △수출입은행(14명) △신용보증기금(16명) 등이다.
아울러 문민정부 출범과 함께 군사정권이 종료됐던 1993년 이후에는 군 출신 공기업 사장의 비율이 9.6%로 그 이전의 33.9%보다 낮아졌다.
그러나 관료 출신은 35.2%에서 57.4%로,정치 관련자는 12.1%에서 33.8%로 각각 올라갔다.
관료 중에서는 재경부 산자부 건교부 출신들이 공기업에 상대적으로 많이 진출했다.
산업은행의 경우 1982년 이후 총재 13명 가운데 12명이 재경부 출신이었다.
또 1993년 이후 수출입은행 총재 6명,1992년 이후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7명,1989년 창립 이후 기술신용보증기금 이사장 7명 모두가 재경부 출신이었다.
KOTRA의 경우 창립 이후 군 출신이 주로 입성했으나 1991년 이후 5명의 사장 모두가 산자부 출신이었다.
내부 출신 사장을 1명이라도 배출한 공기업은 8개사에 불과했다.
해당 인원도 모두 14명에 그쳤다.
해당 기관별로는 △산업은행 4명 △수자원공사 한전 토지공사 각 2명 △코레일 주택공사 기업은행 KOTRA 각 1명이다.
토지공사의 김재현 현 사장과 김윤기(1997년 취임) 전 사장은 실무부서에서 경험을 쌓은 뒤 부사장을 거쳐 사장자리에 올랐다.
KOTRA의 홍기화 현 사장도 1975년 입사 후 30년 만에 사장 자리에 올랐고 수자원공사의 고석구 전 사장도 입사 26년 만에 CEO가 됐다.
민간기업(금융제외)에서 경험을 쌓은 뒤 공기업 사장으로 취임한 사람은 14명에 머물렀다.
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의 장정욱 간사는 "주무부처나 정치권 출신이 공기업 사장으로 내려가면 해당 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이 어려워지는 측면이 있다"면서 "이로 인해 공기업들이 제 역할을 못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고 지적했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