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반값 아파트'로 공급된 경기도 군포 부곡지구 주공 아파트가 1순위 청약에서 10%의 저조한 청약률에 그치며 무더기로 미달됐다.

정부와 정치권이 집값을 잡겠다며 내놓은 반값 아파트가 시장의 철저한 외면 속에 첫 출발부터 실패작이 돼 버린 것.

15일 주택공사에 따르면 부곡지구 환매조건부 아파트 415가구와 토지임대부 아파트 389가구 등 모두 804가구(전용면적 74~84㎡)에 대한 1순위 및 특별공급 청약접수 결과 83명만이 신청해 721가구가 미달됐다.

청약저축 24회 이상 납입자들이 신청한 일반 1순위 청약에서는 환매조건부 주택이 321가구 모집에 45명,토지임대부는 299가구 모집에 21명만 각각 신청해 총 554가구가 미달됐다.

또 노부모 우선공급 80가구에도 3명만 청약했으며,3자녀 특별공급 역시 24가구 모집에 2명만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거민과 국가유공자,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공급되는 기타특별공급 80가구에도 12명만 접수했다.

토지임대부가 아파트가 이처럼 미달사태를 빚은 것은 분양가가 당초 예상과 달리 주변 아파트에 비해 그다지 싸지 않은 데다 토지 임대료가 입주자들이 부담하기에는 비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또 환매조건부 아파트의 경우 계약 후 20년간 전매를 할 수 없는 등 재산권 행사에 제약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실수요자들 사이에 '무늬만 반값'이라는 불만이 커 청약 전부터 대규모 미달사태가 예상됐었다"며 "정치권이나 정부 모두 현실과 시장을 너무 모른 채 책상에 앉아 이상적으로만 정책을 기획한 탁상행정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일반공급 및 노부모 우선,기타특별공급분 등의 미달물량은 16일 청약저축 2순위자를 대상으로 추가 신청을 받는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