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는 18일 미분양으로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 이른바 '반값 아파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거쳐 올해 말까지 존폐 문제를 확정짓기로 했다.

이는 사실상 정부가 토지임대부 및 환매조건부 주택 공급을 중단할 명분을 쌓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건교부 고위관계자는 "이들 주택을 더 이상 짓지 않고 비축용 임대주택과 미분양 아파트 매입을 통해 서민층에게 저렴한 주택을 공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본지 10월17일자 A2면 참조

건교부는 이날 군포 부곡지구의 환매조건부 주택과 토지임대부 주택을 분양한 결과 85%가 미분양돼 주택시장 전문가,학계,연구기관 등으로 '시범사업 평가단'을 구성해 11월 한달 동안 객관적인 평가를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건교부는 또 국민 여론조사와 군포 부곡지구 청약자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도 실시해 환매조건부 및 토지임대부 주택에 대한 선호도,시범사업의 성과와 한계 등을 진단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이춘희 건교부 차관은 이날 국정브리핑에 올린 기고문에서 "정부가 2005년 8월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을 검토한 적이 있었지만 우리 현실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고 밝혀 반값아파트가 비현실적이라는 점을 인정했다.

한편 주택공사는 군포 부곡지구의 환매조건부 및 토지임대부 미분양 주택 685가구에 대해서는 다음주 중 입주자 모집공고를 내고 수도권 거주 무주택 세대주를 대상으로 선착순 분양할 계획이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