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비과세 혜택을 타고 급증하고 있는 해외펀드 투자가 대외채무를 늘리는 역효과를 낳고 있다.

그동안 조선업체들의 과도한 선물환 매도에서 비롯된 금리차익거래 기회 확대가 단기외채 급증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지만 정부의 해외펀드 활성화대책 또한 외채 급증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의 한 관계자는 18일 "최근 급증하는 해외펀드 투자가 외환시장과 대외채무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파악해 본 결과 조선업체들의 선물환매도와 마찬가지로 해외펀드 투자도 환위험을 헤지(회피)하는 과정에서 단기외채 증가요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이렇다.

자산운용사들은 해외펀드에 들어온 원화를 달러로 바꿔 해외주식에 투자하는데 이 중 70~80%는 환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선물환을 매도한다.

자산운용사들로부터 선물환을 매입한 은행들 역시 환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외국계은행과 일정 기간 뒤 되바꾸는 조건으로 원화를 주고 달러를 받는 스와프계약을 맺는다.

외국계 은행은 이 과정에 필요한 달러를 해외에서 차입하게 된다.

한은의 또 다른 관계자는 "경상수지가 거의 균형상태이고 외국인의 주식투자 자금도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해외펀드 투자가 늘면 금융기관들의 외화차입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올 들어 8월까지 경상수지 흑자폭은 5억3000만달러에 불과하고,자본수지 중 직접투자 수지는 52억달러 적자를 내는 등 '비외채성' 외환은 오히려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는 형국이다.

한은은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외채무 비율이 35%(6월말 기준)로 독일(147.9%)이나 미국(89.3%) 등 선진국과 비교해 매우 안정적이라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