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의약품인 기초수액의 보험약가가 너무 낮게 책정돼 있어 이를 생산하는 국내 제약사들이 만성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돼 이들 업체가 기초수액 생산을 포기하면 최악의 경우 '수액대란'이 빚어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보건복지위 박재완 의원(한나라당)은 22일 물가와 인건비는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주요 기초수액 가격은 2002년 이후 보험약가가 인상되지 않아 제약사들이 적자를 감내하면서까지 생산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초 수액시장의 약 50%를 차지하는 중외제약은 지난해 기초수액 부문에서 63억원 적자를 냈다.

수액부문 2,3위 업체인 CJ와 대한약품 역시 지난해 각각 55억원,40억원씩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퇴장방지의약품으로 지정된 기초 수액 153개 품목 중 38개가 최근 3년 새 제약사들의 자진 신청으로 품목허가가 취소됐고,30개 품목은 현재 생산이 중단된 상태다.

기초수액 사업이 이처럼 적자를 내고 있는 것은 보건당국이 건강보험재정을 절감하기 위해 수액 가격을 지나치게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때문이라고 박 의원은 주장했다.

실제 포도당 5% 기초수액(1ℓ기준)의 경우 국내 약가는 1172원으로 대표적인 생수인 '삼다수'(1ℓ 1200원,편의점 판매가격 기준)에도 못 미칠 뿐 아니라 미국(8043원) 독일(4126원) 프랑스(3073원) 등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라는 게 박 의원의 분석이다.

박 의원은 "보험재정을 절감하는 것은 좋지만 적자 폭 확대로 수액생산을 포기하는 업체가 나올 경우 환자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수액 생산과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