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새 지도부 출범 후 원자바오 총리 주재로 처음 열린 국무원 경제공작(정책)회의에서 경기과열 해결을 최우선 정책 과제로 설정,총력 대응한다는 방침을 정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은행들의 대출심사 기준 강화 등 유동성 증가 억제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또 정부의 계획 만큼 줄지 않고 있는 고정자산 투자와 환경ㆍ에너지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 대처하기로 했다.

국무원 경제공작회의에서 과잉 유동성 문제가 집중 거론된 것은 시중에 넘쳐나는 돈 때문에 물가상승과 자산버블 등이 심각해져 안정적인 경제성장의 장애가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과잉 유동성은 무역흑자와 외국인들의 직접투자 증가 등으로 들어온 자금이 정부의 해외투자 규제로 원활하게 빠져 나가지 못하고 중국 안에 쌓이면서 발생하고 있다.

중국의 무역흑자는 지난 9월 말 현재 1860억달러에 달해 지난해 전체의 1774억달러를 추월했다.

급증하고 있는 돈은 은행에서 빠져나와 부동산과 주식투자 용도로 흘러나가고 있다.

금융권의 대출증가율은 지난해 26%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28%로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중국정부는 금리인상 등을 통한 통화회수 외에 해외투자 확대 및 대출규제로 유동성 고삐를 바짝 죌 것으로 예상된다.

저우샤오촨 인민은행장은 최근 "앞으로 금리를 지금보다 더 자주,그리고 큰 폭으로 올릴 수 있다"고 밝혀 적극적인 금리정책 시행을 예고한 바 있다.

또 각 은행의 신용대출 기준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언급,자산버블이 위험수위에 달했음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중국정부가 해외투자 규제를 대폭 완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홍콩증시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직접 투자를 조기에 허용하고 각 기관의 해외 투자한도를 확대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25일 발표된 3분기 경제지표가 과열양상으로 드러나면서 전날 4.8% 폭락했던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0.49% 오른 5589.631에 마감됐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