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청와대에서 외국인정책회의를 열고 내년 상반기부터 세계 상위권 대학 졸업자 등 해외 우수인력에 구직비자를 발급해주고,외국 전문가 등에게 이중국적을 허용하며,외국인 숙련노동자들의 영주권 취득요건도 완화(緩和)하는 방안 등을 내놓았다.

이를 통해 국내의 고급인력 부족현상을 해소하고 글로벌 인재 확보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다.

산업구조 고도화 등으로 고급인력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간 인재확보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 비춰볼 때 이 같은 조치는 오히려 때늦은 감이 없지 않다.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글로벌 인재 확보가 시급한 과제인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미국이 이민법상 특례까지 만들면서 유학생 유치에 발벗고 나서고,유럽연합 또한 영주권 제도를 본뜬 '블루카드'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것도 바로 그러한 연유에서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폐쇄적 외국인 정책으로 인해 고급 외국인력의 유입이 크게 제한되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그나마 있는 인재들마저 한국을 등지는 경우가 빈번함으로써 고급두뇌 공동화현상까지 심해지고 있다.

이중국적 허용문제 등을 둘러싸고 논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 외국인 국내 체류자 100만명 시대이고 보면 다문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외국인 정책도입의 당위성은 충분하다.

이대로 가다가는 우리나라가 글로벌 인재확보 경쟁에서 뒤지고 국가경쟁력에도 치명적 타격을 입을 게 뻔하다.

정부당국은 이번에 제시한 대책들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만전(萬全)을 기하는 것은 물론,외국인정책의 유연성을 높여 고급인력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