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 비정규직'이 늘고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금 근무조건 등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처우가 점차 개선되면서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근로자도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유연성 확보 차원에서 비정규직을 원하는 사용자와 정년보다 임금이나 고용조건을 우선시하는 근로자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현재 비정규직 근로자는 570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545만7000명)에 비해 4.5%(24만6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7월 비정규직 보호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오히려 작년보다 더 늘어난 것이다.
◆'내가 원해서' 비정규직 선택
비정규직이 증가한 가장 큰 이유는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근로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조사에 따르면 자발적 비정규직 근로자는 307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280만9000명) 대비 26만2000명 늘었다.
반면 비자발적 비정규직은 1만6000명 감소했다.
자발적으로 늘어난 비정규직 숫자가 축소된 비자발적 비정규직 규모를 웃돌아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수를 끌어올린 셈이다.
자발적 비정규직이란 현재의 일자리에 취업한 동기가 '근로조건에 만족''안정적인 일자리여서' 등 자발적 사유인 비정규직 근로자를 말한다.
이들의 취업 동기를 보면 자발적 비정규직의 41.5%가 '근로조건에 만족해서' 지금의 일자리를 선택했다고 답했다.
'안정적인 일자리'라는 응답도 28.1%였다.
반면 비자발적 비정규직은 '당장 수입이 필요해서(71.2%)'라거나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14.9%)' 현재의 직장에 다니게 됐다고 답했다.
비정규직에 대한 전반적인 처우도 작년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6~8월) 임금은 127만6000원 수준으로 정규직(200만8000원)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지만,작년 같은 기간 조사에 비해서는 7만8000원(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급휴가를 쓰고 있다는 비율도 작년보다 5.6%포인트 늘었고 퇴직금(4.5%포인트 상승),상여금(3.4%포인트),시간외 수당(2.3%포인트) 등을 수령한 비정규직 근로자도 각각 작년보다 증가했다.
◆'직무급제'로 가는 과정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는 기업 경영환경과 노동시장 변화에 맞춰 사용자와 근로자의 고용에 대한 기대가 조금씩 접점을 찾아가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연성만 확보되면 '임금 수준을 올려 줘도 상관없다'는 쪽으로,근로자는 정년을 보장받기 위해 '바늘구멍'을 뚫기보다 처우만 좋으면 '비정규직이라도 괜찮다'는 쪽으로 한 발씩 다가갔다는 얘기다.
김태정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경쟁 심화로 경영 환경의 변동성이 커진 기업들로선 '저임금 메리트'보다 '유연성 제고'라는 측면에서 비정규직 채용을 원하고 있다"며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는 한국식 '평생 직장' 개념이 사라지고 점차 직무급제로 노동시장이 구조조정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전문직 근로자들이 일과 여가의 균형을 추구하는 것도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 원인으로 꼽혔다.
김 연구원은 "전문직 분야에서는 시간당 임금 수준만 보장된다면 직장에 얽매이지 않고 시간을 맘대로 쓸 수 있는 시간제 근무를 선호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며 "이들도 통계 분류상 자발적 비정규직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
고용 유연성 확보 차원에서 비정규직을 원하는 사용자와 정년보다 임금이나 고용조건을 우선시하는 근로자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현재 비정규직 근로자는 570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545만7000명)에 비해 4.5%(24만6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7월 비정규직 보호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오히려 작년보다 더 늘어난 것이다.
◆'내가 원해서' 비정규직 선택
비정규직이 증가한 가장 큰 이유는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근로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조사에 따르면 자발적 비정규직 근로자는 307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280만9000명) 대비 26만2000명 늘었다.
반면 비자발적 비정규직은 1만6000명 감소했다.
자발적으로 늘어난 비정규직 숫자가 축소된 비자발적 비정규직 규모를 웃돌아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수를 끌어올린 셈이다.
자발적 비정규직이란 현재의 일자리에 취업한 동기가 '근로조건에 만족''안정적인 일자리여서' 등 자발적 사유인 비정규직 근로자를 말한다.
이들의 취업 동기를 보면 자발적 비정규직의 41.5%가 '근로조건에 만족해서' 지금의 일자리를 선택했다고 답했다.
'안정적인 일자리'라는 응답도 28.1%였다.
반면 비자발적 비정규직은 '당장 수입이 필요해서(71.2%)'라거나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14.9%)' 현재의 직장에 다니게 됐다고 답했다.
비정규직에 대한 전반적인 처우도 작년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6~8월) 임금은 127만6000원 수준으로 정규직(200만8000원)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지만,작년 같은 기간 조사에 비해서는 7만8000원(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급휴가를 쓰고 있다는 비율도 작년보다 5.6%포인트 늘었고 퇴직금(4.5%포인트 상승),상여금(3.4%포인트),시간외 수당(2.3%포인트) 등을 수령한 비정규직 근로자도 각각 작년보다 증가했다.
◆'직무급제'로 가는 과정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는 기업 경영환경과 노동시장 변화에 맞춰 사용자와 근로자의 고용에 대한 기대가 조금씩 접점을 찾아가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연성만 확보되면 '임금 수준을 올려 줘도 상관없다'는 쪽으로,근로자는 정년을 보장받기 위해 '바늘구멍'을 뚫기보다 처우만 좋으면 '비정규직이라도 괜찮다'는 쪽으로 한 발씩 다가갔다는 얘기다.
김태정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경쟁 심화로 경영 환경의 변동성이 커진 기업들로선 '저임금 메리트'보다 '유연성 제고'라는 측면에서 비정규직 채용을 원하고 있다"며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는 한국식 '평생 직장' 개념이 사라지고 점차 직무급제로 노동시장이 구조조정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전문직 근로자들이 일과 여가의 균형을 추구하는 것도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 원인으로 꼽혔다.
김 연구원은 "전문직 분야에서는 시간당 임금 수준만 보장된다면 직장에 얽매이지 않고 시간을 맘대로 쓸 수 있는 시간제 근무를 선호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며 "이들도 통계 분류상 자발적 비정규직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