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지구 재건축 용적률 늘어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강남구가 추진 중인 개포지구 저층 재건축단지의 용적률 상향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곳은 개포동 660일대 330만㎡(110만평)에 이르는 대단지로,개포 주공 1~4 단지와 개포 시영,일원 대우 및 현대 등 저층 재건축단지와 개포 주공 5~7단지,대치동 미도.선경.우성 등 고층단지를 포함해 총 16개 단지 2만5000여가구가 들어서 있다.
강남구는 다음 달 중순 나올 예정인 외부 타당성 조사결과를 토대로 현재 평균 177%로 돼있는 지구 내 재건축단지의 용적률을 강동구 고덕택지개발지구 송파구 가락시영 등 서울시내 다른 주요 2종 일반주거지역과 같은 수준인 190%까지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용적률 상향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앞으로 강남구와 서울시가 어떤 합의점을 도출할지 주목된다.
29일 서울시와 강남구청에 따르면 강남구는 외부 용역 보고서가 나오는 대로 서울시와 협의,연말까지 개포지구 내에 단지별 용적률 상향 수준을 확정할 계획이다.
강남구 관계자는 "서울시와 12월 한 달 동안 집중적으로 협의해 연내에 용적률 상향 조정을 마무리지을 방침"이라며 "물리적으로 시간이 빠듯한 만틈 용적률 조정결과 발표가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강남구의 의뢰를 받은 외부 용역기관은 지난달 개포 주공1~4단지를 비롯한 개포지구 내 7개 저층 재건축단지 주민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190%의 용적률 상한선에 맞춰 단지별로 어느 정도까지 용적률을 배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시뮬레이션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지금 상황에서는 강남구가 추진 중인 개포지구 용적률 상향조정을 들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개포지구의 용적률을 올리면 무엇보다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강남권 부동산시장을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서울시의 우려다.
주택분양시장 과열을 우려해 은평뉴타운의 분양일정까지 12월로 미루는 방안을 강력히 추진 중인 마당에 강남구의 요청을 덜컥 받아주기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강동구 고덕지구와 송파구 가락시영 단지와의 형평성 문제를 들어 서울시가 강남구와의 협의에서 이 같은 '불허' 입장을 마냥 고집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재테크팀장은 "서울시가 개포지구와 비슷한 규모와 입지여건을 갖춘 강동구 고덕지구와 송파구 가락시영 단지에 대해 이미 용적률을 190%로 배정한 마당에 개포지구에만 현행대로 177%를 고집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며 "일정 기간의 협상과정을 거쳐 용적률이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연말 대선 결과도 변수다.
유력한 대선주자인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재건축 추진단지를 고밀도로 개발해 공급을 확대하는 게 강남권 집값안정의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는 견해를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서울시 안팎에서는 "강남구가 자신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용적률 상향작업을 일부러 지연시키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 형편이어서 연말 서울시와 강남구 간 의견절충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
이 곳은 개포동 660일대 330만㎡(110만평)에 이르는 대단지로,개포 주공 1~4 단지와 개포 시영,일원 대우 및 현대 등 저층 재건축단지와 개포 주공 5~7단지,대치동 미도.선경.우성 등 고층단지를 포함해 총 16개 단지 2만5000여가구가 들어서 있다.
강남구는 다음 달 중순 나올 예정인 외부 타당성 조사결과를 토대로 현재 평균 177%로 돼있는 지구 내 재건축단지의 용적률을 강동구 고덕택지개발지구 송파구 가락시영 등 서울시내 다른 주요 2종 일반주거지역과 같은 수준인 190%까지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용적률 상향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앞으로 강남구와 서울시가 어떤 합의점을 도출할지 주목된다.
29일 서울시와 강남구청에 따르면 강남구는 외부 용역 보고서가 나오는 대로 서울시와 협의,연말까지 개포지구 내에 단지별 용적률 상향 수준을 확정할 계획이다.
강남구 관계자는 "서울시와 12월 한 달 동안 집중적으로 협의해 연내에 용적률 상향 조정을 마무리지을 방침"이라며 "물리적으로 시간이 빠듯한 만틈 용적률 조정결과 발표가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강남구의 의뢰를 받은 외부 용역기관은 지난달 개포 주공1~4단지를 비롯한 개포지구 내 7개 저층 재건축단지 주민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190%의 용적률 상한선에 맞춰 단지별로 어느 정도까지 용적률을 배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시뮬레이션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지금 상황에서는 강남구가 추진 중인 개포지구 용적률 상향조정을 들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개포지구의 용적률을 올리면 무엇보다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강남권 부동산시장을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서울시의 우려다.
주택분양시장 과열을 우려해 은평뉴타운의 분양일정까지 12월로 미루는 방안을 강력히 추진 중인 마당에 강남구의 요청을 덜컥 받아주기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강동구 고덕지구와 송파구 가락시영 단지와의 형평성 문제를 들어 서울시가 강남구와의 협의에서 이 같은 '불허' 입장을 마냥 고집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재테크팀장은 "서울시가 개포지구와 비슷한 규모와 입지여건을 갖춘 강동구 고덕지구와 송파구 가락시영 단지에 대해 이미 용적률을 190%로 배정한 마당에 개포지구에만 현행대로 177%를 고집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며 "일정 기간의 협상과정을 거쳐 용적률이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연말 대선 결과도 변수다.
유력한 대선주자인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재건축 추진단지를 고밀도로 개발해 공급을 확대하는 게 강남권 집값안정의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는 견해를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서울시 안팎에서는 "강남구가 자신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용적률 상향작업을 일부러 지연시키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 형편이어서 연말 서울시와 강남구 간 의견절충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