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6월까지 외국어고 등 특목고 신설을 엄격히 제한하고 자연계과정,의대준비반 등을 편법 운영한 외고를 지정 해제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특목고 정상화 방안을 확정했다.

또 외고 입시 과열을 완화하기 위해 일반 인문계고에서 우열반 수업을 확대하는 등 공교육에서의 '엘리트' 교육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는 외고의 특성화고 전환 여부에 대한 결정은 내년 6월로 유보키로 했다.

외고의 존폐 여부를 차기 정부가 결정토록 한다는 뜻이다.

외고가 특성화고로 전환되면 신입생을 기존의 시험 방식이 아닌 추첨을 통해 선발해야 하기 때문에 엘리트 학교로서의 위상을 잃게 된다.

◆외고 존폐 여부 차기 정부서

교육인적자원부는 29일 전국 시ㆍ도교육감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고등학교 운영 개선 및 체제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이날 회의에서 특목고를 아예 폐지하고 특성화고로 전환하는 제1안과 특목고를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보완하는 제2안 등 두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1안에 따르면 현재의 외고는 국제고로 통합돼 모두 특성화고로 전환된다.

이 방안이 확정되면 서울 수도권 등 평준화 지역의 외고는 '선지원 후추첨제'를 받아들여야 한다.

추첨을 통해 신입생을 선발해야 한다는 뜻으로 사실상 외고의 해체를 의미한다.

2안은 외고와 국제고는 특목고로 유지하되 입시전형 개편 등을 통해 관리 감독을 강화하는 것을 뼈대로 하는 방안이다.

교육부는 이 두 가지 안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연구작업,여론수렴을 거쳐 내년 6월 최종안을 발표키로 했다.

◆일반 인문계고 엘리트 교육 강화

이번 방안에서 눈여겨 볼 부분은 일반 인문계고에서의 엘리트 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겨있다는 것.일반 인문계고가 엘리트를 제대로 교육하지 못해 우수한 학생들이 외고로 이탈할 수밖에 없다는 여론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우선 수준별 수업이 전면 확대된다.

교육부는 원칙적으로 모든 고교에서 학년당 2과목 이상을 3~4단계의 수준으로 나눠 수업을 진행하도록 정했다.

이렇게 되면 지난해 561학급에 불과했던 수준별 수업 학급이 올해 7118개로 늘어난다.

또 학생의 수준에 따라 상위 학년의 수업을 먼저 들을 수 있는 무학년제,성적 우수자만 방과 후에 따로 모아 교육하는 수준별 방과 후 학교 운영 등도 적극 권장할 방침이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