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은 희망을 만들고, 희망보다 더 큰 축복은 없다.

공교육은 특히 그렇다.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까닭이다.

일본 정부가 유토리 교육(여유 교육)이 학력 저하를 불렀다며 수업시간을 늘리는 등 학교 교육을 강화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선택권 또한 확대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인성과 독창성을 키운다는 정신은 잘못 되지 않았다면서도 문제의 심각성을 감안,고치겠다는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인식과 준비가 부족했다는 반성이다.

자율적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이상이 아무리 좋아도 현장에서 실현될 수 없으면 소용없다는 얘기다.

공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는 것은 어디나 같다.

미국에선 클린턴 전 대통령 집권 이듬해 수학 과학 등 주요과목의 국가 성취기준 도입을 골자로 한 '목표 2000'법을 만들고,교사 인센티브제 도입,주(州) 학력평가시험(SOL) 점수별 학교 지원액 차등 결정,자율적 공립학교 증대 등 온갖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공교육 개혁 바람이 한창인 건 유럽도 마찬가지다.

영국에선 학부모가 직접 운영하는 공립학교가 등장하고 프랑스에서는 최고급 홈스쿨링이 인기를 끈다.

어디든 교사의 자질을 높이고 학교 선택의 폭을 넓히는 일이야말로 교육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지름길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는 셈이다.

일본이라고 주입식 교육을 지양하고 남을 배려하는 힘을 키워준다는,원대한 목표로 도입했던 유토리교육을 본격 시행, 불과 6년 만에 수정하는 일이 쉽지만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국경없는 무한경쟁 시대에 여기저기서 나타나는 초ㆍ중ㆍ고생의 실력 저하를 그대로 두고 볼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교육은 누가 뭐래도 개인과 국가의 성장 원동력이다.

우리에게도 공교육 개혁은 더이상 미루거나 우왕좌왕해선 안되는 시급한 당면과제다.

어떻게 해야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학교,앞서가는 사람과 뒤처진 사람을 고루 배려할 수 있는 참된 교육의 장을 이끌어낼지 냉정하게 따져볼 때다.

박성희 논설위원 psh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