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상승으로 금융자산 증가율이 큰 폭으로 늘었지만 시중금리 상승으로 인한 대출원리금 증가로 실질적인 채무부담능력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가계의 금융부채 증가율은 올 상반기 8.6%로 지난해(11.6%)에 비해 크게 둔화됐다.

반면 상반기 주가급등으로 금융자산 증가율은 17.5%에 달했다.

이에 따라 실물자산 처분 없이 금융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작년 말 44.6%에서 올해 6월 말 42.8%로 낮아졌다.

또한 가계의 가용소득을 통한 금융부채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작년 말 1.42배에서 올해 6월 말 1.41배로 소폭 낮아졌다.

올 상반기 경상가격 국내총생산(GDP)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전반적으로 가계의 채무부담능력이 개선되는 추세라는 의미다.

그러나 이자지급 부담을 나타내는 개인 가처분소득 대비 지급이자 비율은 지난해 8.6%에서 올 상반기 9.1%로 높아졌다.

올 상반기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급등으로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지난해보다 0.5~0.6%포인트 상승하면서 원리금 부담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한은 금융안정분석국 관계자는 "올 들어 금융부채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시장금리 상승으로 원리금 부담도 늘어 가계의 채무부담능력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