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부터 488개 정부기관을 상대로 진행돼온 17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가 2일 마무리됐다.

대선을 눈앞에 두고 열린 이번 국감은 민생문제가 완전히 뒷전으로 밀려나고 이명박 한나라당,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를 둘러싼 각종 의혹 제기와 검증 공방으로 얼룩졌다.

또 피감기관의 국회의원에 대한 향응 제공과 내년 총선을 의식한 의원들의 지역구 챙기기 등 구태도 여전해 헌정 사상 최악의 '진흙탕 국감'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번 국감은 '이명박-정동영 국감'이라고 할 정도로 두 후보에 대한 갖가지 의혹 제기가 잇따랐다.

신당은 이 후보의 BBK 투자자문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상암 DMC 특혜 의혹,도곡동 땅 차명 소유 문제 등을 집중 거론하며 이 후보를 공격했다.

한나라당은 이에 맞서 정 후보 처남의 주가조작 의혹과 숙부의 하숙비 반환소송 제기 등으로 맞불을 놨다.

14개 상임위 별로 진행된 소관 부처의 국감장은 어느 곳을 가리지 않고 양당 의원들의 치열한 공방으로 파행을 빚었다.

지난달 11일 정무위에서는 BBK 주가조작 사건에 대한 증인 채택 문제로 신당과 한나라당 의원들이 충돌하는 '폭력사태'가 발생했고,22일 법사위에서는'잔대가리''이 xx야'라는 막발과 욕설이 오가는 추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민생과 관련해 정부 정책의 문제점을 꼬집는 의원들의 목소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국감 마지막 날인 이날도 신당과 한나라당은 상대당 후보에 대한 검증 문제를 놓고 팽팽한 대치를 벌였다.

신당 서혜석 의원은 "금감원과 검찰이 그동안 숨겨왔던 BBK 투자자 중 대다수가 이 후보와 매우 가까운 지인들로 구성된 사실이 밝혀졌다"며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한나라당 진수희 의원은 "김경준의 송환을 앞두고 여권에서는 김씨의 입국이 대선정국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국민은 더이상 '제2의 김대업' 공작에 놀아나지 않을 것"이라고 맞섰다.

국회는 오는 5,6일 교섭단체 대표 연설,7∼9일 분야별 대정부 질문을 거쳐 새해 예산안을 심의.의결한 뒤 23일 정기국회 회기를 마칠 예정이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