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역세권 개발사업이 삼성물산 컨소시엄의 계획대로 2011년 착공에 들어가려면 넘어야 할 고비가 적지 않을 전망이다.

가장 큰 변수는 역시 국제업무지구와 연계해 개발되는 주변 서부이촌동에 대한 보상문제다.

한강철로 서쪽의 국제업무지구 연계개발권역에는 현재 대림,성원,중산,시범 등 아파트 1400여가구를 포함해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 등 총 2193가구가 살고 있다.

이들 주민들은 앞으로 사업시행자와 인♥허가권자인 서울시가 채택할 보상 방식을 둘러싸고 이해관계가 크게 엇갈려있어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상황이다.

부동산시장에는 대림♥성원아파트 주민 등은 대체로 국제업무지구 내에 들어설 주상복합아파트에 대한 입주권을 받을 수 있는 '입체환지' 방식의 보상을,시유지 위에 있는 시범 및 중산아파트 주민들은 '수용'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개발법에 따르면 입체환지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시범♥중산 아파트 주민들은 토지를 소유하고 있지 않아 국제업무지구의 아파트 입주권을 받을 수가 없다.

형평성 차원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셈이다.

이 때문에 앞으로 이 지역의 보상문제를 사업시행자와 함께 주도적으로 해결해나가야 할 서울시 도시계획국 관계자들은 벌써부터 하루가 멀다하고 지역 주민들의 민원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재테크팀장은 "보상 방식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이해관계가 워낙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서울시와 사업시행자가 모든 주민을 만족시키는 묘책을 찾아내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며 "지역주민들의 이해관계를 적절하게 조정하면서 서부이촌동 지역의 토지 보상을 최대한 신속하게 마무리짓는 게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