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권 모델하우스용 부지의 몸값이 급등하고 있다.

임대료가 몇 개월 만에 두 배 가까이 오른 사례가 나올 정도다.

강남권에서 모델하우스를 지을 만한 땅은 30여곳에 불과한데 아파트를 분양하기 위해 모델하우스를 지으려는 업체들이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이달 안에 아파트를 서둘러 지어 공급하려는 업체들이 몰려 모델하우스 부지난이 심화되는 상황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1년 임대료가 7억원이었던 강남구 청담동의 한 모델하우스 부지 1780여㎡(530평)는 현재 13억원을 호가한다.

이 땅의 주인은 한 대형 건설업체와의 임대계약이 끝나자마자 재연장하지 않고 임대료를 두 배 가까이 올려 매물로 내놓았다.

아직 계약이 이뤄지지는 않았지만,이미 2~3개 건설업체가 부지임차 계약을 희망하고 있어 거래가 체결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게 업계의 예상이다.

중견 건설업체인 D사는 얼마전 삼성동에서 모델하우스를 차릴 때 1300여㎡(400평) 정도 부지를 빌리는데 12억원 이상을 냈다.

1년 전만 해도 990~1650㎡(300~500평)짜리 모델하우스 부지를 얻는데 5억~7억원이면 가능했던 것과 비교하면 천양지차다.

중견업체인 K사 역시 방배동에서 1390㎡(420평)의 땅을 임차하면서 13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강남에 주택문화전시관을 지으려는 대형 건설업체들도 부지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현재 2개 대형업체가 전시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부지가 없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체들이 강남권에서 수억원의 웃돈을 감수하면서까지 경쟁적으로 부지 물색에 나서고 있는 덕에 땅주인들은 희희낙락이다.

임대료를 일시불로 선납토록 하는 것은 물론 심지어 임차권조차 설정해 주지 않는 등 배짱을 부리는 사례까지 있는 형편이다.

김신조 내외주건 사장은 "모델하우스를 지으려면 도로변에 붙어 있는 최소 1500㎡ 이상의 부지가 필요한데 강남은 이미 개발이 완료돼 이런 빈 땅을 찾기가 쉽지 않다"며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이 비용을 더 들여서라도 다년 계약을 해서 안정적인 모델하우스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모델하우스용 부지 임대료 급등이 분양가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