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아 피랍 마부노호 한국인 4명 등 24명 전원 풀려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됐던 한국인 어부 4명이 다섯 달 넘는 몸값 협상 끝에 4일 풀려났다.
함께 납치됐던 중국·베트남·인도·인도네시아인 선원 총 20명도 전원 석방됐다.
외교통상부는 이날 "선원들이 미국 5함대 소속 군함의 호위를 받으며 목적지인 예멘의 아덴항으로 이동 중"이라고 밝히고 "24명 모두 무사하다"고 발표했다.
풀려난 한국인은 선장 한석호(40),선원 조문갑(54) 이송렬(47) 양칠태(55)씨 등 4명으로 이들은 지난 5월 15일 새우잡이 원양어선 마부노 1·2호를 타고 케냐 뭄바사항에서 예멘으로 가다 소말리아 해역에서 무장 군벌에게 납치됐다.
석방 협상에는 국가정보원과 외교통상부가 선주인 한국인 안현수 씨와 함께 직접 참여했다.
정부는 초기 측면 지원만 했으나 협상이 난항을 겪자 적극 개입하기 시작했다.
협상은 지난 9월 타결 직전까지 갔으나 해적들이 갑자기 몸값을 세 배 이상 높여 불러 한달 이상을 더 길어졌다.
정부와 선주 안 씨는 결국 100만달러 상당의 몸값을 해적에게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적들이 이처럼 몸값을 높인 이유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한 탈레반 인질 사태에 한국 정부가 적극 개입한 사실이 널리 알려졌고,협상 과정에서 ‘국제 시세’가 상승한 것 등이 복합 작용한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다른 해적 일당에 잡혔던 덴마크 인질들의 경우 150만달러를 주고 풀려났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
해적들은 이후 피랍자들을 구타한 후 이 사실을 한국 정부에 알리는 등 압박 작전도 썼고,이 과정에서 중국과 베트남 정부는 사실상 협상을 방관해 정부가 부담을 떠앉게됐다.
정부 관계자는 "선주의 협상력과 자금력에 한계가 있어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러나 탈레반 사태에 이어 소말리아에서 되풀이된 한국인 피랍에 잇따라 개입함으로써 향후 유사 사태가 되풀이될 위험 부담을 안게 됐다.
외교부는 "무고한 선원들을 공해상에서 납치하여 장기간 억류하는 만행을 저저지른 국제 해적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히고 위험 지역에서 조업하는 원양어선들에 주의를 촉구했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함께 납치됐던 중국·베트남·인도·인도네시아인 선원 총 20명도 전원 석방됐다.
외교통상부는 이날 "선원들이 미국 5함대 소속 군함의 호위를 받으며 목적지인 예멘의 아덴항으로 이동 중"이라고 밝히고 "24명 모두 무사하다"고 발표했다.
풀려난 한국인은 선장 한석호(40),선원 조문갑(54) 이송렬(47) 양칠태(55)씨 등 4명으로 이들은 지난 5월 15일 새우잡이 원양어선 마부노 1·2호를 타고 케냐 뭄바사항에서 예멘으로 가다 소말리아 해역에서 무장 군벌에게 납치됐다.
석방 협상에는 국가정보원과 외교통상부가 선주인 한국인 안현수 씨와 함께 직접 참여했다.
정부는 초기 측면 지원만 했으나 협상이 난항을 겪자 적극 개입하기 시작했다.
협상은 지난 9월 타결 직전까지 갔으나 해적들이 갑자기 몸값을 세 배 이상 높여 불러 한달 이상을 더 길어졌다.
정부와 선주 안 씨는 결국 100만달러 상당의 몸값을 해적에게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적들이 이처럼 몸값을 높인 이유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한 탈레반 인질 사태에 한국 정부가 적극 개입한 사실이 널리 알려졌고,협상 과정에서 ‘국제 시세’가 상승한 것 등이 복합 작용한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다른 해적 일당에 잡혔던 덴마크 인질들의 경우 150만달러를 주고 풀려났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
해적들은 이후 피랍자들을 구타한 후 이 사실을 한국 정부에 알리는 등 압박 작전도 썼고,이 과정에서 중국과 베트남 정부는 사실상 협상을 방관해 정부가 부담을 떠앉게됐다.
정부 관계자는 "선주의 협상력과 자금력에 한계가 있어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러나 탈레반 사태에 이어 소말리아에서 되풀이된 한국인 피랍에 잇따라 개입함으로써 향후 유사 사태가 되풀이될 위험 부담을 안게 됐다.
외교부는 "무고한 선원들을 공해상에서 납치하여 장기간 억류하는 만행을 저저지른 국제 해적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히고 위험 지역에서 조업하는 원양어선들에 주의를 촉구했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