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계자 못길러낸 기업 위기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EO 낙마로 허둥대는 메릴린치ㆍ씨티
"최고경영자(CEO)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한 일은 비상시 자기를 대체할 후계자군을 양성하는 것이다." 경영학자들이 말하는 후계자 양성의 중요성이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파문으로 수장을 잃고 허둥대는 메릴린치와 씨티그룹 사태에서 다시 한번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천은 4일 "스탠리 오닐 메릴린치 전 CEO에 이어 찰스 프린스 씨티그룹 회장 겸 CEO가 서브프라임 손실 책임을 지고 물러난 것도 뉴스지만 더 놀라운 것은 이들 CEO가 회사를 떠나는 순간에도 두 회사는 적당한 후임자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메릴린치는 지난달 30일 오닐이 사퇴하자 알베르토 크리비오르 이사를 '임시 비집행(non-executive) 회장'으로 선임했다.
CEO는 선임하지 못한 채 회사 운영권도 없는 비집행 회장만 임명한 것.이와 관련,포천은 "메릴린치는 회사를 이끌어갈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
메릴린치 이사회는 새 CEO를 물색하기까지 최소 수주에서 몇 달이 걸릴 수도 있다고 발표하고 있어 회사의 지도력 부재는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씨티그룹도 이날 프린스 회장 겸 CEO가 사임하자 적당한 후계자 선임에 곤란을 겪고 있다.
그나마 회장직에 전 미국 재무장관인 로버트 루빈 씨티그룹 경영위원회 회장을 임명하고,임시 CEO로 씨티유럽 회장인 윈 비숍 경을 선임한 정도다.
미국을 대표하는 이들 금융기관이 수만 명에 달하는 자사 직원 가운데 적당한 후계자를 준비하고 길러내지 못했다는 것은 비슷한 위기를 맞을 수 있는 많은 미국 회사들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와 관련,메릴린치의 전 CEO인 댄 튤리는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메릴린치)가 외부에서 인재를 찾아봐야 한다는 것은 참으로 슬픈 일"이라고 말했다.
실제 이 같은 미국 회사들의 '후계구도 부재'는 최근 수년간 곳곳에서 지적돼 왔다.
나름대로 경영을 잘하고 있다는 유명 대기업들도 CEO가 회사를 그만뒀을 때 후임을 제때 찾지 못해 허둥지둥 외부에서 인재를 영입한 사례가 많다.
보잉 3M 휴렛팩커드(HP) 포드 크라이슬러 등 쟁쟁한 회사들도 최근 수년간 회사의 CEO 선임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외부 인재를 데려와야만 했다.
그만큼 미국 회사들의 인재 보급 라인이 총체적으로 삐걱대고 있다는 얘기다.
한 컨설턴트는 "GE의 전설적인 리더였던 잭 웰치 전 회장이 후계자군을 치밀하게 양성해 제프리 이멜트를 뽑아 올렸던 사례는 MBA과정 인사관리의 전형적인 케이스 스터디 교재"라며 "수많은 미국 기업들이 이 같은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은 충격"이라고 지적했다. 포천은 "만약 어떤 회사가 왜 리더십 개발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둬야 하는지 그동안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면 이번 메릴린치와 씨티그룹 사태가 그 같은 의심을 말끔히 씻어줬을 것"이라며 "회사를 이끌어갈 지도자를 제대로 육성하는 것은 세계적 기업이라면 필수적으로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천은 4일 "스탠리 오닐 메릴린치 전 CEO에 이어 찰스 프린스 씨티그룹 회장 겸 CEO가 서브프라임 손실 책임을 지고 물러난 것도 뉴스지만 더 놀라운 것은 이들 CEO가 회사를 떠나는 순간에도 두 회사는 적당한 후임자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메릴린치는 지난달 30일 오닐이 사퇴하자 알베르토 크리비오르 이사를 '임시 비집행(non-executive) 회장'으로 선임했다.
CEO는 선임하지 못한 채 회사 운영권도 없는 비집행 회장만 임명한 것.이와 관련,포천은 "메릴린치는 회사를 이끌어갈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
메릴린치 이사회는 새 CEO를 물색하기까지 최소 수주에서 몇 달이 걸릴 수도 있다고 발표하고 있어 회사의 지도력 부재는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씨티그룹도 이날 프린스 회장 겸 CEO가 사임하자 적당한 후계자 선임에 곤란을 겪고 있다.
그나마 회장직에 전 미국 재무장관인 로버트 루빈 씨티그룹 경영위원회 회장을 임명하고,임시 CEO로 씨티유럽 회장인 윈 비숍 경을 선임한 정도다.
미국을 대표하는 이들 금융기관이 수만 명에 달하는 자사 직원 가운데 적당한 후계자를 준비하고 길러내지 못했다는 것은 비슷한 위기를 맞을 수 있는 많은 미국 회사들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와 관련,메릴린치의 전 CEO인 댄 튤리는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메릴린치)가 외부에서 인재를 찾아봐야 한다는 것은 참으로 슬픈 일"이라고 말했다.
실제 이 같은 미국 회사들의 '후계구도 부재'는 최근 수년간 곳곳에서 지적돼 왔다.
나름대로 경영을 잘하고 있다는 유명 대기업들도 CEO가 회사를 그만뒀을 때 후임을 제때 찾지 못해 허둥지둥 외부에서 인재를 영입한 사례가 많다.
보잉 3M 휴렛팩커드(HP) 포드 크라이슬러 등 쟁쟁한 회사들도 최근 수년간 회사의 CEO 선임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외부 인재를 데려와야만 했다.
그만큼 미국 회사들의 인재 보급 라인이 총체적으로 삐걱대고 있다는 얘기다.
한 컨설턴트는 "GE의 전설적인 리더였던 잭 웰치 전 회장이 후계자군을 치밀하게 양성해 제프리 이멜트를 뽑아 올렸던 사례는 MBA과정 인사관리의 전형적인 케이스 스터디 교재"라며 "수많은 미국 기업들이 이 같은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은 충격"이라고 지적했다. 포천은 "만약 어떤 회사가 왜 리더십 개발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둬야 하는지 그동안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면 이번 메릴린치와 씨티그룹 사태가 그 같은 의심을 말끔히 씻어줬을 것"이라며 "회사를 이끌어갈 지도자를 제대로 육성하는 것은 세계적 기업이라면 필수적으로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