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이회창 전 총재가 대선후보 출마를 강행할 경우 정면승부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강경 대응'하는 쪽으로 내부 방침을 굳혀가고 있다.

창당 주역이자 당원들의 존경을 받아온 원로라는 점에서 정면대응을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일각의 예상과 달리 "처음부터 재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무너뜨려야 한다"는 강경의견이 늘어나고 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6일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에 대한 공격 수위보다 오히려 더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본다"며 "역사와 국민,당에 대한 명백한 배신행위라는 점을 분명히 할 것"이라고 전의를 다졌다.

그는 "이 전 총재와 한나라당의 지지층이 겹치기 때문에 강경대응을 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며 "오히려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초장부터 발을 붙이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전 총재 측도 출마 명분을 내세우기 위해서는 이명박 후보를 정면으로 공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관측하며 "섣부른 '우군' 의식이나 지지선언 기대감으로 어정쩡한 태도를 취할 경우 기세싸움에서 밀리게 된다"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는 "불법 대선 자금 문제는 물론이고 이 전 총재가 정계은퇴 선언 이후 해왔던 모든 말들을 문제삼을 방침"이라며 "국민과 당원들의 믿음을 저버리고 배신을 선택한 대가를 반드시 치르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같은 강경기류는 이 후보를 비롯한 당내 실세들의 최근 언행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이 후보는 지난 5일 관훈클럽 초청토론회에서 "불과 보름 전 점심 식사를 같이 할 때도 정권교체를 위해 힘을 모으자고 말씀하셨기 때문에 전혀 대비하지 못했다.

이 전 총재를 믿고 있었기 때문에 아무 의심도 하지 않았다"며 배신감을 토로했다.

당내 경선 당시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박희태 의원도 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선잔금 문제를 거론하며 "잔금을 (대선이 끝난 뒤) 1년 넘게 누가 어떻게 관리를 했고,그것을 왜 거기에 숨겨 놓았느냐는 이야기"라면서 "아주 거액인데,1년4개월 넘게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밝혀야 한다"고 이 전 총재를 압박했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