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이 차세대 에너지의 하나로 꼽히는 ‘유기 태양전지’개발에 그룹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코오롱은 지난 9일 이웅열 회장과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석한 가운데 ‘그룹 기술전략회의’를 열고 태양광 에너지 사업을 물 사업과 함께 그룹의 양대 성장 축으로 육성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회장은 이날 회의에 지난 2000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알랜 히거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교수를 초청해 차세대 유기 태양전지의 기술 동향에 대한 강연을 듣고 그룹의 태양광 에너지 사업 추진계획을 이같이 확정했다.

유기 태양전지란 실리콘계 칩을 집적해 웨이퍼를 만드는 기존 기술과는 달리 플라스틱 등 유기물의 얇은 막을 사용해 웨이퍼를 만드는 차세대 전지제품이다.

코오롱은 이를위해 우선 에너지 부품소재를 개발할 전담 연구조직을 신설하기로 했다.

또 광주과학기술원 ‘히거 신소재 연구센터’와 손잡고 차세대 유기 태양전지의 핵심소재 및 제조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코오롱이 보유하고 있는 필름 및 가공기술과 연구소의 원천기술이 만나면 2010년께는 유리 태양전지를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란 게 회사측의 로드맵이다.

코오롱은 또 세계 최고의 비정질 박막형 태양전지 제조업체인 일본의 카네카와 최근 전략적 제휴를 맺고 셀을 독점 공급 받아 건물일체형 태양광시스템(BIPV) 사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코오롱은 또 태양광발전소 건립에도 나서 내년까지 경주 마우나오션 리조트에 1MW급발전소도 세울 예정이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