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재협상 있을 수 없다"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당 대 당 통합을 둘러싸고 신당 내부에 후폭풍이 거세다.

친노파와 초ㆍ재선 의원은 물론 중진들까지 "원칙을 포기한 합의"라고 비판하면서 재협상을 요구하고 나섰고,당 지도부는 "통합조건을 다시 논의하겠다"며 통합협상에 대한 추인을 사실상 거부했다.

민주당은 "재협상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발,통합이 합의 하루 만에 무산위기에 처한 것이다.

친노진영 의원 20여명은 이날 서울 여의도 이해찬 전 총리 사무실에서 비공개모임을 갖고 "공동선대위원장들과도 충분한 논의없이 이뤄진 합당"이라며 재협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김형주 의원은 "당이 붕괴 직전인데 산삼 뿌리를 먹여준 꼴"이라며 "민주당 이인제 후보를 선대위원장에 임명하고 최고위를 심의기구로 하며 전당대회를 연기하는 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김원기 정세균 장영달 원혜영 이미경 의원 등 당내 중진의원 8명도 여의도 한 호텔에서 회동을 갖고 재협상론에 힘을 실었다.

김상희,양길승 최고위원이 소속된 시민사회세력인 미래창조포럼은 이날 합당과 단일화 논의의 즉각적인 백지화를 촉구했다.

포럼은 "2008년 6월 전당대회나 2인 공동대표의 단독 의결구조는 정치적 민주주의를 무시한 반민주적 행태이자 정당정치의 후퇴이며 지역주의에 의지해 다음 총선을 겨냥하는 정략"이라며 "필요시 '중대한 결단'도 불사할 수 있다"고 말해 탈당을 포함한 집단행동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초선의원은 "당내 의원의 대다수가 반대하고 있고 심지어 정동영 후보 캠프 내부에서도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식으로 민주당에 일방적으로 양보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반발기류의 저변에는 내년 총선과 관련한 지분싸움이 자리하고 있다.

양당이 합의한 1 대 1 원칙대로라면 140명 현역의원 중 상당수가 공천을 받을 수 없는 등 신당 내 세력지분이 크게 줄어드는데 따른 위기감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급기야 합의문 서명 당사자인 오충일 대표가 긴급 기자간담회를 자청, 통합조건에 대한 재협상을 공식화했다.

이에 박상천 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후 지역 선대위원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재협상은 받아들이지 않겠다.

4인 합의문에 명시된 원칙에 대한 수정은 불가하다"며 "협상이 깨질 때는 단독으로 대선을 치러야 한다"고 못박았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