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14일 "(한반도 평화체제 직접 관련국) 정상들의 선언은 `평화 기공식'과 같은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 장관은 KBS TV `단박 인터뷰'에 출연, 이 같이 말한 뒤 "정상간 선언을 하는 것이 핵폐기를 촉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 나오면 그때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관련국 정상들의 회동이나 선언을 통해 비핵화 진전을 위한 의지를 결집하는 방안을 추진할 `적절한 시점'에 대해 "북한이 핵불능화를 마치고 핵폐기에 들어가는 그런 시점을 늘 염두에 두고 있다"면서 "어느 시점이 적절한지에 대해 관련된 나라들과 계속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 장관은 지난 7일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과 회담한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적절한 시점에 전반적인 비핵화 진전을 위한 정치적 추동력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관련국들 간에 내려질 경우 `정상급(top level)'에서 정치적 의지를 결집하는 방안에 대해 계속 검토키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노무현 대통령 임기 내 평화체제 관련국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언급, "노 대통령은 본인 임기 중에 반드시 뭘 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면서도 "반면 대통령이 `내 임기 중에는 생각없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면 추동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북한의 불능화 이행과 미국의 대북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의 선후 관계에 대해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는 북한의 불능화가 완전히 다 될 때 같이 하는 것"이라며 북한과 미국이 각각 불능화를 위한 기계적 조치와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를 위한 행정적 조치를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정말로 이제 괜찮겠다'는 수준의 신뢰는 아니지만 미.북 간에 조금씩 신뢰가 쌓이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10.3 합의대로 북한이 불능화를 할 것으로 미 행정부 사람들은 보고 있고 북한도 그렇게 하는 것이 자신들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송 장관은 납북자 문제 해결에 진전이 있기 전에는 미국의 대북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가 이뤄져서는 안된다는 일본의 입장과 관련, "언론에 나와서 하는 부분과 실제로 외교 과정에서 하는 것 간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면서 "언뜻 보기엔 불가능한 것도 가능케 만드는 것이 외교"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jh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