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7일자) 재계의 '특검 반대' 귀담아 들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상의 전경련 무역협회 기협중앙회 경총 등 경제5단체가 삼성관련 특별검사 도입에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대선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정치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은 데다 우리 기업들의 이미지 손상과 대외신인도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는 것이다.
경제5단체 성명은 흘려 들을 사안이 아니다.
재계의 우려가 결코 기우(杞憂)는 아니기 때문이다.
특검이 도입돼 장기 수사로 이어지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인 삼성이 심각한 경영차질을 빚을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나아가 기업인들의 전반적 의욕 저하와 경제 전체의 활력 상실로 연결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게다가 삼성 특검 문제는 벌써 정치적 이슈로까지 비화(飛化)한 상황이어서 한층 우려가 크다.
통합신당과 한나라당은 각각 나름대로 만든 특검법안을 발의했고 청와대는 이들과는 또 입장이 다르다.
특검 범위 등을 놓고 정파간 갈등과 대립이 불가피하고 이 과정에서 기업만 멍들게 될 것이란 이야기다.
물론 의혹이 있다면 그 실체가 밝혀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아직 아무런 증거도 드러나지 않은 사안을 놓고 특정인의 일방적 주장에 의거해 특검까지 도입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다.
검찰이 삼성 사건을 전담할 특별수사ㆍ감찰본부를 설치해 투명한 수사를 하겠다고 밝힌 만큼 일단은 검찰에 맡기는 게 순리다.
삼성의 관리대상으로 거론된 인물들을 지휘 라인에서 제외하고 검찰총장의 지휘를 받지 않는 독립수사체계를 만들겠다고 약속하지 않았는가.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특검은 성급하다.
기업이 의혹만으로 난타를 당하며 대선용 정략으로 이용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대선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정치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은 데다 우리 기업들의 이미지 손상과 대외신인도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는 것이다.
경제5단체 성명은 흘려 들을 사안이 아니다.
재계의 우려가 결코 기우(杞憂)는 아니기 때문이다.
특검이 도입돼 장기 수사로 이어지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인 삼성이 심각한 경영차질을 빚을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나아가 기업인들의 전반적 의욕 저하와 경제 전체의 활력 상실로 연결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게다가 삼성 특검 문제는 벌써 정치적 이슈로까지 비화(飛化)한 상황이어서 한층 우려가 크다.
통합신당과 한나라당은 각각 나름대로 만든 특검법안을 발의했고 청와대는 이들과는 또 입장이 다르다.
특검 범위 등을 놓고 정파간 갈등과 대립이 불가피하고 이 과정에서 기업만 멍들게 될 것이란 이야기다.
물론 의혹이 있다면 그 실체가 밝혀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아직 아무런 증거도 드러나지 않은 사안을 놓고 특정인의 일방적 주장에 의거해 특검까지 도입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다.
검찰이 삼성 사건을 전담할 특별수사ㆍ감찰본부를 설치해 투명한 수사를 하겠다고 밝힌 만큼 일단은 검찰에 맡기는 게 순리다.
삼성의 관리대상으로 거론된 인물들을 지휘 라인에서 제외하고 검찰총장의 지휘를 받지 않는 독립수사체계를 만들겠다고 약속하지 않았는가.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특검은 성급하다.
기업이 의혹만으로 난타를 당하며 대선용 정략으로 이용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