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일자) 기후변화 대응 신시장 기회 삼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어제 기후변화와 관련한 산업계 CEO와의 간담회 자리에서 기업들의 대응 수준을 평가하는 이른바 '기후변화 리더십 지수'를 만들어 이를 해마다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아무래도 이런 지수가 매년 공개될 경우 외부에서는 해당 기업의 이른바 지속가능 경영과 친환경 경영 등에 대한 지표로 간주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기업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신속한 대응을 유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의도하는 것도 결국 이런 효과일 것이다.
당장은 아니지만 우리나라가 온실가스 감축(減縮)의무 부담에 참여하는 것은 사실상 시간문제라고 봐야 한다. 이미 국제 사회로부터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 참여 압력을 강하게 받고 있는 데다, 업계에서는 산업여건과 기업경쟁력 확보를 고려하여 정부가 대응해 달라는 주문을 내놓기도 하지만 언제까지 우리의 입장만 고집할 수도 없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업계는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금부터 감축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는 얘기다.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온실가스 감축 문제는 단순히 규제 차원으로만 봐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온실가스 감축이 새로운 시장 창출(創出)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이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실제로 앞을 내다보는 기업들일수록 이 거대시장을 향해 바삐 움직이고 있다.
여기저기서 온실가스 배출거래소가 만들어진다는 얘기가 들려오고, 온실가스 크레디트를 쌓기 위한 기업들의 선행적 투자도 활발하다.
국제적 흐름이 이런한데 우리나라가 당장의 감축의무가 없다고 안이하게 대처한다면 결과는 뻔하다.
의무부담을 충족시켜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을 때의 고통은 고통대로 더욱 커질 것이고 여기에다 신시장도 놓치고 마는, 한마디로 이중의 기회비용을 치러야 할 것이다.
새로운 지수를 만들어 발표하는 것도 물론 필요하겠지만 더욱 실효성 있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온실가스 조기 감축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시민단체를 비롯한 우리 사회도 기업에만 모든 부담을 지우려 해서도 안된다.
정부, 기업, 그리고 우리 사회 전체의 협력이 절실하다.
아무래도 이런 지수가 매년 공개될 경우 외부에서는 해당 기업의 이른바 지속가능 경영과 친환경 경영 등에 대한 지표로 간주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기업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신속한 대응을 유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의도하는 것도 결국 이런 효과일 것이다.
당장은 아니지만 우리나라가 온실가스 감축(減縮)의무 부담에 참여하는 것은 사실상 시간문제라고 봐야 한다. 이미 국제 사회로부터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 참여 압력을 강하게 받고 있는 데다, 업계에서는 산업여건과 기업경쟁력 확보를 고려하여 정부가 대응해 달라는 주문을 내놓기도 하지만 언제까지 우리의 입장만 고집할 수도 없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업계는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금부터 감축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는 얘기다.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온실가스 감축 문제는 단순히 규제 차원으로만 봐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온실가스 감축이 새로운 시장 창출(創出)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이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실제로 앞을 내다보는 기업들일수록 이 거대시장을 향해 바삐 움직이고 있다.
여기저기서 온실가스 배출거래소가 만들어진다는 얘기가 들려오고, 온실가스 크레디트를 쌓기 위한 기업들의 선행적 투자도 활발하다.
국제적 흐름이 이런한데 우리나라가 당장의 감축의무가 없다고 안이하게 대처한다면 결과는 뻔하다.
의무부담을 충족시켜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을 때의 고통은 고통대로 더욱 커질 것이고 여기에다 신시장도 놓치고 마는, 한마디로 이중의 기회비용을 치러야 할 것이다.
새로운 지수를 만들어 발표하는 것도 물론 필요하겠지만 더욱 실효성 있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온실가스 조기 감축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시민단체를 비롯한 우리 사회도 기업에만 모든 부담을 지우려 해서도 안된다.
정부, 기업, 그리고 우리 사회 전체의 협력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