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안변 조선단지에 전력공급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이 최근 총리회담에서 내년 상반기 중 북한 안변에 조선협력단지를 건설키로 합의했으나 전력공급이 최대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남쪽에서 직접 전력을 보내거나 북측 발전소를 개보수해 주는 방안 등을 구상하고 있어 상당한 비용부담에 따른 논란이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는 19일 "지난 3~7일 안변지역을 1차 실사한 결과 협력단지 입지로는 안성맞춤이었지만 전력이 태부족했다"며 "남측의 직접 송전이나 북측 발전소 개보수 지원 등 여러가지 방안을 고려해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다음 달 중 개성에서 북측과 실무접촉을 갖고 조선용 블록(철구조물) 공장이 들어설 안변지역에 대한 2차 현지실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2차 실사단에는 한국전력 전문가를 포함시켜 현지 전력사정과 전력공급 문제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
정부가 안변 조선협력단지에 전력을 직접 공급할 경우에는 130㎞ 떨어진 강원도 고성에서 송전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에 따르면 철탑과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데는 최소 1040억원(송전전압 15만4000V 기준으로 1㎞당 8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변전소 건설까지 감안하면 비용부담은 더 늘어나게 된다.
개성공단은 현재 경기도 파주에서 10만㎾의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데 정부가 350억원을 투입,총16㎞ 구간에 걸쳐 철탑과 송전선로를 설치하고 공단 내에 변전소도 건설했다.
다른 정부 소식통은 "대북 직접 송전을 할 경우 북핵 6자회담을 통한 경제.에너지 상응조치와는 별개로 이뤄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북한에 에너지가 들어가는 것인 만큼 관련국들의 이해를 구하는 절차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2차 현지실사를 앞두고 직접송전 외에 북측의 발전소 현대화와 새 발전소를 지어주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무연탄 발전소는 건설기간이 길지만 사용 요금이 저렴한 반면,경유 발전소는 건설기간은 짧지만 요금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안변과 함께 조선협력단지로 조성될 남포에서도 당초 수리 조선소 건설 방안이 모색됐으나 입지가 적당치 않아 선박블록공장 건설로 방향이 바뀌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
이에 따라 정부는 남쪽에서 직접 전력을 보내거나 북측 발전소를 개보수해 주는 방안 등을 구상하고 있어 상당한 비용부담에 따른 논란이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는 19일 "지난 3~7일 안변지역을 1차 실사한 결과 협력단지 입지로는 안성맞춤이었지만 전력이 태부족했다"며 "남측의 직접 송전이나 북측 발전소 개보수 지원 등 여러가지 방안을 고려해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다음 달 중 개성에서 북측과 실무접촉을 갖고 조선용 블록(철구조물) 공장이 들어설 안변지역에 대한 2차 현지실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2차 실사단에는 한국전력 전문가를 포함시켜 현지 전력사정과 전력공급 문제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
정부가 안변 조선협력단지에 전력을 직접 공급할 경우에는 130㎞ 떨어진 강원도 고성에서 송전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에 따르면 철탑과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데는 최소 1040억원(송전전압 15만4000V 기준으로 1㎞당 8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변전소 건설까지 감안하면 비용부담은 더 늘어나게 된다.
개성공단은 현재 경기도 파주에서 10만㎾의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데 정부가 350억원을 투입,총16㎞ 구간에 걸쳐 철탑과 송전선로를 설치하고 공단 내에 변전소도 건설했다.
다른 정부 소식통은 "대북 직접 송전을 할 경우 북핵 6자회담을 통한 경제.에너지 상응조치와는 별개로 이뤄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북한에 에너지가 들어가는 것인 만큼 관련국들의 이해를 구하는 절차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2차 현지실사를 앞두고 직접송전 외에 북측의 발전소 현대화와 새 발전소를 지어주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무연탄 발전소는 건설기간이 길지만 사용 요금이 저렴한 반면,경유 발전소는 건설기간은 짧지만 요금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안변과 함께 조선협력단지로 조성될 남포에서도 당초 수리 조선소 건설 방안이 모색됐으나 입지가 적당치 않아 선박블록공장 건설로 방향이 바뀌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