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세.대출규제에 막혀 '샌드위치' 신세

양도소득세 부담과 대출규제 등으로 인해 주택시장이 침체되면서 아파트 거래건수가 작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거래시장의 동맥경화 현상이 가시화되고 있다.

26일 건설교통부의 건축물 거래현황에 따르면 9월에 거래된 아파트는 모두 5만4천884가구로 작년 동월의 10만550가구와 비교하면 54.5%에 그쳤다.

이는 또 건교부가 아파트 거래건수를 집계해 발표하기 시작한 작년 1월 이후 최저수준으로 거래가 가장 많았던 작년 11월(15만2천13채)에 비하면 36.1%에 불과하다.

올해 들어 9월까지 거래된 아파트는 총 60만3천919채, 월평균 6만7천102채로 작년에 월평균 9만4천41채였던 것과 비교하면 71.4%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아파트 거래가 부진한 것은 매도자는 과도한 양도소득세로 인해 팔기를 꺼리고 매수자는 대출규제 강화로 자금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분양가 상한제 시행 등으로 인해 값싼 가격에 주택을 분양받을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면서 거래시장보다는 분양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사람이 많이 늘어난 것도 이유로 꼽힌다.

주택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가격 안정 대책은 주택 거래도 꽁꽁 묶었다"면서 "지금 상황은 가족 구성원이 늘어남에 따라 집을 넓혀 가려는 욕구조차 실현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건축물 거래현황과 별도로 1991년부터 집계되고 있는 토지거래현황에 따르면 아파트를 매매할 때 함께 매매되는 '아파트 부속 토지'는 9월에 5만3천642필지가 거래돼 2003년 9월(5만3천636필지) 이후 3년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여기에는 지목이 '대지'인 땅에 세워진 아파트만 포함되고 대지 이외의 땅에 세워진 아파트의 거래는 제외되기 때문에 실제 아파트 거래건수보다는 다소 적다.

그렇지만 2005년 이전의 아파트 거래건수가 집계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아파트 거래 시장의 침체 정도를 더 긴 시점에서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su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