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가격이 17주 만에 소폭 하락세로 돌아섰다. 국제 유가가 하락해서다.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2월 첫째 주(2∼6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0.04원 내린 1733.06원을 기록했다. 앞서 주간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지난주까지 16주 연속 상승했다.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직전 주보다 4.1원 상승한 1801.8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1.4원 하락한 1706.4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L당 평균가는 1706.6원이었다.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1597.7원으로 L당 1.1원 올랐으나 상승 폭은 전주의 11.3원 대비 줄었다.이번 주 국제유가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 발효 이후 고조한 미중 무역 전쟁 우려, 미국 주간 원유 재고 증가 등에 하락했다.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등 국내 기업 총수들을 잇달아 만나고 돌아간 ‘챗GPT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본국에서 구설에 오르고 있습니다.오픈 AI는 수익을 추구하지 않는 ‘비영리 단체’로 설립됐는데, 여기의 수장인 올트먼 CEO가 수십억 원을 호가하는 슈퍼카를 타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7일 비즈니스인사이더, qz 등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올트먼은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 지역에서 스웨덴 슈퍼카 코니세그를 타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그가 탄 모델은 ‘레제라’로 출고가가 200만달러(약 29억원)에 달합니다. 80대밖에 제작되지 않아 중고 시장에서는 300만달러(43억원)가 넘는 가격에 거래됩니다.레제라의 출력은 1500마력으로 페라리 로마(620마력), 포르쉐 911 터보(662마력)의 두 배가 넘습니다. 정지상태에서 400k/h까지 31초 만에 도달합니다.올트먼의 탑승 모습을 포착해 SNS에 올린 조셉 벨리안은 “코니세그를 일반 도로에서 직접 봐서 꿈만 같다”라며 “내 인생의 가장 드문 순간 중 하나일 것”이라고 소감을 말했습니다.테슬라 차주 동호회인 ‘실리콘밸리 테슬라 모임’에서는 야유가 쏟아졌습니다. 한 테슬라 오너는 “비영리 단체의 CEO가 어떻게 코니세그를 탈 수 있냐”고 꼬집었습니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댓글을 통해 “좋은 지적(great question)”이라며 공감을 표시했습니다. 머스크 발언에 대해 오픈AI 측은 “경솔하다”고 비판했습니다.머스크는 오픈AI의 공동 창립자 중 하나였으나, 내부 갈등으로 오픈AI를 2018년 떠났습니다.오픈AI는 ‘인류를 이롭게
“포드 자율주행 전략에 중요한 결정을 내릴 시점이다. 레벨4 시스템을 자체 개발할지 테슬라나 웨이모 등 외부 업체와 파트너십을 맺을지 검토 중이다.”지난 5일(현지시간)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가 작년 4분기 실적발표에서 한 발언이 테슬라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팔리는 포드의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전략을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2022년 포드는 자율주행 스타트업 ‘아르고AI’ 사업 중단을 발표했다. 2017년부터 투자한 레벨4 자율주행 사업 부문 누적 손실이 27억달러(약 3.9조원)에 달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대신 레벨2, 3 기술에 투자를 집중하기로 했다. 당시 팔리는 “수익성 있고 규모가 큰 완전자율주행 차량은 아직 멀었다”며 “우리는 반드시 해당 기술을 직접 개발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힌 바 있다.하지만 이날 팔리는 “레벨4 자율주행은 개인 차량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강력한 전략팀을 통해 이 문제를 심도 있게 보고 있다”고 3년 전과 달라진 견해를 밝혔다. 이어 “기술적으로 테슬라 FSD(Full Self-Driving)와 웨이모 자율주행 시스템을 파악하고 있다”며 아르고AI (사업 철수) 때처럼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결정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팔리의 발언은 테슬라 등 타사의 앞선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하는 게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실제 포드는 2023년 테슬라의 전기차 충전 규격인 북미충전표준(NACS)을 처음으로 도입한 완성차업체다. 전문가들은 포드가 ‘테슬라 충전 동맹’ 가입에 이어 첫 FSD 라이센스 계약을 맺을 것으로 점쳐왔다.일론 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