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본사 압수수색] 검사 6명 등 60명 투입 … 박스 8개분 자료 챙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검찰이 30일 삼성증권 본사와 전산센터,삼성SDS e-데이터센터 등에 대해 전방위 압수수색을 실시함에 따라 삼성비자금 의혹에 대한 수사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특검제 도입으로 '필요한 범위'에서만 수사를 벌이겠다던 검찰이 명예회복을 위해 실력행사에 돌입한 것이다.
조만간 삼성 본관과 계열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도 이뤄질 것으로 보여 근래에 보기 드문 압수수색 회오리가 삼성에 불어닥칠 전망이다.
◆왜 삼성증권인가
검찰이 첫 압수수색 대상으로 삼성증권을 택한 이유는 그룹의 핵심 금융 계열사로 비자금을 관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삼성비자금을 폭로한 김용철 전 삼성법무팀장(변호사)은 지난 26일 4차 기자회견을 통해 "차명예금과 차명주식,차명부동산이 황영기 전 삼성증권 사장 등 관계사 사장단 명의로 운용되고 있다"고 말해 삼성증권이 비자금 창구임을 시사했다.
검찰은 김 변호사의 진술대로 각 계열사 임원의 계좌번호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삼성의 비자금 흐름과 규모가 적나라하게 드러날 공산이 크다.
자칫 계열사 사장단과 임원들이 줄줄이 본인 계좌 확인을 위해 검찰에 소환될 수도 있다.
삼성증권 압수수색은 삼성의 허를 찔렀다는 분석도 있다.
당초 김 변호사는 삼성물산과 삼성SDI 등이 비자금 조성에 적극 가담했다고 했었다.
삼성증권보다 삼성물산과 삼성SDI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삼성증권은 황영기 사장 이름이 나온 것 외에 별도로 강하게 거론된 적이 없었다.
삼성증권에 대한 압수수색은 또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는 검찰의 판단도 작용했다.
삼성증권에 차명보유하던 16억원 상당의 주식을 아내 명의로 돌려 반환을 거부하다 협상을 통해 8억원만 반환한 것으로 나타난 전 삼성SDS 자금부장 유모씨가 돌연 출국한 것이 원인이 됐다는 것.
◆비자금 수사에 초점
김수남 특별본부 차장검사는 "이번 압수수색은 비자금 조성 의혹에 중점을 둔 것"이라고 말했다.
비자금,경영권 편법승계,정관계 로비 등 세 가지 수사대상 중 비자금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수사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김 변호사는 이날도 검찰에 출두하면서 "삼성물산이나 삼성SDI는 비자금을 조성하는 곳이고 증권은 비자금 조성 이후가 아니겠냐"고 말해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했다.
검찰은 이날 검사 6명 등 수사관 40명을 삼성증권 본사에 투입한데 이어 전산센터와 삼성SDS e-데이터센터에 20명을 추가투입해 8개 박스 분량의 자료를 압수하는 등 사실상 특별본부의 대부분 인력을 집중시켰다.
김수남 특별본부 차장검사는 "직원들이 PC를 삭제했더라도 이곳에 금융결제 관련 백업자료가 보관되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계열사로 확대되나
검찰이 추가로 압수수색에 나선다면 다음 대상 회사는 어디가 될지도 관심거리다.
비자금 조성과 관련,김 변호사가 수차례 언급한 삼성 본관과 삼성SDI 삼성생명 삼성물산 등이,경영권 승계 의혹과 관련해 삼성에버랜드,분식회계와 관련해서는 삼성중공업 삼성테크윈(옛 삼성항공)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비자금의 최종 종착지인 삼성 본관 27층이 가장 유력한 대상이다.
김 변호사는 삼성그룹이 계열사별로 할당해 비자금을 모은 뒤 태평로 삼성 본관 27층 임원 사무실의 비밀금고에 옮겨졌다고 주장한 바 있다.
국내 굴지의 기업에 대한 과도한 압수수색이 삼성에 치명타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검찰이 삼성그룹 전체로 압수수색을 확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
특검제 도입으로 '필요한 범위'에서만 수사를 벌이겠다던 검찰이 명예회복을 위해 실력행사에 돌입한 것이다.
조만간 삼성 본관과 계열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도 이뤄질 것으로 보여 근래에 보기 드문 압수수색 회오리가 삼성에 불어닥칠 전망이다.
◆왜 삼성증권인가
검찰이 첫 압수수색 대상으로 삼성증권을 택한 이유는 그룹의 핵심 금융 계열사로 비자금을 관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삼성비자금을 폭로한 김용철 전 삼성법무팀장(변호사)은 지난 26일 4차 기자회견을 통해 "차명예금과 차명주식,차명부동산이 황영기 전 삼성증권 사장 등 관계사 사장단 명의로 운용되고 있다"고 말해 삼성증권이 비자금 창구임을 시사했다.
검찰은 김 변호사의 진술대로 각 계열사 임원의 계좌번호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삼성의 비자금 흐름과 규모가 적나라하게 드러날 공산이 크다.
자칫 계열사 사장단과 임원들이 줄줄이 본인 계좌 확인을 위해 검찰에 소환될 수도 있다.
삼성증권 압수수색은 삼성의 허를 찔렀다는 분석도 있다.
당초 김 변호사는 삼성물산과 삼성SDI 등이 비자금 조성에 적극 가담했다고 했었다.
삼성증권보다 삼성물산과 삼성SDI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삼성증권은 황영기 사장 이름이 나온 것 외에 별도로 강하게 거론된 적이 없었다.
삼성증권에 대한 압수수색은 또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는 검찰의 판단도 작용했다.
삼성증권에 차명보유하던 16억원 상당의 주식을 아내 명의로 돌려 반환을 거부하다 협상을 통해 8억원만 반환한 것으로 나타난 전 삼성SDS 자금부장 유모씨가 돌연 출국한 것이 원인이 됐다는 것.
◆비자금 수사에 초점
김수남 특별본부 차장검사는 "이번 압수수색은 비자금 조성 의혹에 중점을 둔 것"이라고 말했다.
비자금,경영권 편법승계,정관계 로비 등 세 가지 수사대상 중 비자금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수사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김 변호사는 이날도 검찰에 출두하면서 "삼성물산이나 삼성SDI는 비자금을 조성하는 곳이고 증권은 비자금 조성 이후가 아니겠냐"고 말해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했다.
검찰은 이날 검사 6명 등 수사관 40명을 삼성증권 본사에 투입한데 이어 전산센터와 삼성SDS e-데이터센터에 20명을 추가투입해 8개 박스 분량의 자료를 압수하는 등 사실상 특별본부의 대부분 인력을 집중시켰다.
김수남 특별본부 차장검사는 "직원들이 PC를 삭제했더라도 이곳에 금융결제 관련 백업자료가 보관되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계열사로 확대되나
검찰이 추가로 압수수색에 나선다면 다음 대상 회사는 어디가 될지도 관심거리다.
비자금 조성과 관련,김 변호사가 수차례 언급한 삼성 본관과 삼성SDI 삼성생명 삼성물산 등이,경영권 승계 의혹과 관련해 삼성에버랜드,분식회계와 관련해서는 삼성중공업 삼성테크윈(옛 삼성항공)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비자금의 최종 종착지인 삼성 본관 27층이 가장 유력한 대상이다.
김 변호사는 삼성그룹이 계열사별로 할당해 비자금을 모은 뒤 태평로 삼성 본관 27층 임원 사무실의 비밀금고에 옮겨졌다고 주장한 바 있다.
국내 굴지의 기업에 대한 과도한 압수수색이 삼성에 치명타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검찰이 삼성그룹 전체로 압수수색을 확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