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합종연횡 본격화…이회창-심대평] 昌 "대선후 정치의 새장 열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심대평 국민중심당 후보가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의 구애를 뿌리치고 이회창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를 전격 선언한 배경은 무엇일까.
3일 기자회견에서 심 후보는 그 이유를 "다른 지역은 몰라도 우리 충청도는 오만한 것은 못 참는다"고 말했다.
이회창 후보를 선택한 이유가 "한나라당의 오만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사실 그는 출마 결심을 하기 전부터 '정권교체'라는 대의, '보수'라는 정체성을 들어 한나라당과의 연대에 미련을 뒀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가에선 지지율 1% 안팎인 심 후보가 대선보다 차기 총선을 대비하기 위한 충청권 지분 확보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한나라당과의 물밑협상 과정에서 무성의한 태도에 분노를 느꼈다고 심 후보 측 관계자는 전했다.
국민중심당 고위 인사는 "마치 '구걸온 거지를 맞듯이' 하는 행태에 대해 당내 불만이 팽배했다"고 말했다.
더구나 이방호 사무총장이 2일 기자들과 만나 국중당을 '구멍가게'에 비유하면서 '단일화를 해봐야 크게 도움이 될 것 없다'는 취지의 말을 한 것이 심 후보를 크게 자극했다고 한다.
당내 강경파들은 '협상중단'과 이회창 후보로의 단일화를 강력히 촉구했고, 결국 3일 오전 두 사람은 회동과 함께 곧바로 기자회견을 갖고 단일화를 선언했다.
일각에서는 이방호 총장의 발언은 협상에 진척이 없던 상황에서 국중당에 발을 빼는 빌미를 제공한 것일 뿐 실질적인 이유는 차기 총선공천권과 관련한 양측의 이해관계가 좁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단일화를 성사시킨 이회창 후보 측은 내년 총선에서 충청지역 공천권을 심 후보에게 전면 위임했다는 후문이다.
이와 관련, 이 후보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대선에서 이기기 위해 (단일화를) 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대선 뒤에도 뜻을 같이 하면서 정치의 장을 열고자 한다"며 총선을 겨냥한 창당의지를 내비쳤다.
실제로 이 후보 측은 내년 총선을 준비하기 위해 신생 정당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후보는 향후 정근모 참주인연합 후보와 조순형 의원 등 보수진영 '외연확대'에도 적극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3일 기자회견에서 심 후보는 그 이유를 "다른 지역은 몰라도 우리 충청도는 오만한 것은 못 참는다"고 말했다.
이회창 후보를 선택한 이유가 "한나라당의 오만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사실 그는 출마 결심을 하기 전부터 '정권교체'라는 대의, '보수'라는 정체성을 들어 한나라당과의 연대에 미련을 뒀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가에선 지지율 1% 안팎인 심 후보가 대선보다 차기 총선을 대비하기 위한 충청권 지분 확보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한나라당과의 물밑협상 과정에서 무성의한 태도에 분노를 느꼈다고 심 후보 측 관계자는 전했다.
국민중심당 고위 인사는 "마치 '구걸온 거지를 맞듯이' 하는 행태에 대해 당내 불만이 팽배했다"고 말했다.
더구나 이방호 사무총장이 2일 기자들과 만나 국중당을 '구멍가게'에 비유하면서 '단일화를 해봐야 크게 도움이 될 것 없다'는 취지의 말을 한 것이 심 후보를 크게 자극했다고 한다.
당내 강경파들은 '협상중단'과 이회창 후보로의 단일화를 강력히 촉구했고, 결국 3일 오전 두 사람은 회동과 함께 곧바로 기자회견을 갖고 단일화를 선언했다.
일각에서는 이방호 총장의 발언은 협상에 진척이 없던 상황에서 국중당에 발을 빼는 빌미를 제공한 것일 뿐 실질적인 이유는 차기 총선공천권과 관련한 양측의 이해관계가 좁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단일화를 성사시킨 이회창 후보 측은 내년 총선에서 충청지역 공천권을 심 후보에게 전면 위임했다는 후문이다.
이와 관련, 이 후보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대선에서 이기기 위해 (단일화를) 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대선 뒤에도 뜻을 같이 하면서 정치의 장을 열고자 한다"며 총선을 겨냥한 창당의지를 내비쳤다.
실제로 이 후보 측은 내년 총선을 준비하기 위해 신생 정당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후보는 향후 정근모 참주인연합 후보와 조순형 의원 등 보수진영 '외연확대'에도 적극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