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과 원칙이 존중되고, 기업하기 좋으며, 국민의 안전이 보장되는 그런 나라를 만들어보자는 취지로 내일 출범하는 '행복세상'이라는 재단법인이 우리의 눈길을 끈다.

기업인 법조인들이 발기인으로 참여한 이 재단의 대표는 참여정부에서 법무부장관을 지냈던 김성호씨다.

재임 시절 친시장경제적 행보와 소신으로 경제계의 주목을 받았던 그였기에 앞으로의 활동에 거는 기대가 솔직히 크다.

어떻게 보면 김 전 장관은 물러난 뒤에도 자신의 소신을 공익활동을 통해 실천에 옮기고 있는 셈이다.

그는 당시 노조의 불법행위와 관련해서는 '무관용원칙(제로 톨러런스)'을 천명(闡明)했었고, 기업의 반발을 샀던 상법 개정안에 대해선 기업의 의견을 수렴하라면서 다시 손볼 것을 지시하기도 했었다.

참여정부내에서는 하기 어려웠던 이런 발언들 때문에 결국 물러나게 된 그는 퇴임사에서 기업이 국민경제에 기여한 공적만은 정당하게 평가되어야 한다는 얘기를 하기도 했었다.

행복세상이 내건 취지는 우리 사회가 선진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루어내지 않으면 안될 핵심적 요건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법치, 경제, 안전이 확실하게 보장되지 않으면 국가경쟁력, 삶의 질을 결코 기대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전개하겠다는 사업들도 구체적이다.

무엇보다 법과 원칙에 입각한 노사관계 확립 등 사회적 자본 향상 캠페인, 상법 공정거래 증권거래 인허가 등 현실에 맞지 않는 법령 개선 및 규제 혁파 등을 통한 기업하기 좋은 환경 만들기, 그리고 자유무역협정(FTA) 법령 등 국제거래 관련 법령연구를 통한 법과 제도의 선진화에 나서겠다는 것이 그렇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약자 보호, 국민안전망 구축, 국제교류 협력을 위해 적시(摘示)한 사업들도 하나같이 절실한 것들이다.

우리 모두가 바라는 선진사회 실현은 누구 혼자의 힘만으로는 어렵다.

진정 무엇이 선진사회인지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신념과 리더십, 민간의 창의와 자율을 존중하는 정부, 여기에 뜻있는 사람들의 이런 공익활동이 함께 한다면 훨씬 앞당길 수 있다는 게 우리 판단이다.

그래서 6일 출범하는 재단법인 행복세상에 대한 기대가 더욱 큰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