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삼성비자금 수사‥5-7년 금융거래 집중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그룹 비자금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은 삼성 측이 조직적이고 대규모로 비자금을 조성·관리한 흔적을 찾기 위해 최근 5∼7년간 금융거래 내역을 집중 조사했다.
검찰 특별수사·감찰본부(본부장 박한철 검사장)의 김수남 차장검사는 6일 "삼성 측의 자금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5∼7년간 금융거래 내역을 최대한 확보해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김용철 변호사가 차명의심 계좌라고 지목한 4개 계좌의 입출금 거래내역 자료를 금융기관으로부터 넘겨받아 분석하고 있는데 연결된 계좌들도 추적 중이라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말했다.
김 차장검사는 "현장 압수수색은 그 뒤로 없었다"며 "특검에 넘겨줄 만한 의미 있는 압수물들을 정리하고 있다"고 밝혀 당분간 압수수색이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또 '떡값 검사' 논란과 관련해서도 "현재까지는 김 변호사가 제기한 의혹에서 로비 부분에 대해 더 나아가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해 내부 감찰문제는 특검에 넘기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
검찰 특별수사·감찰본부(본부장 박한철 검사장)의 김수남 차장검사는 6일 "삼성 측의 자금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5∼7년간 금융거래 내역을 최대한 확보해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김용철 변호사가 차명의심 계좌라고 지목한 4개 계좌의 입출금 거래내역 자료를 금융기관으로부터 넘겨받아 분석하고 있는데 연결된 계좌들도 추적 중이라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말했다.
김 차장검사는 "현장 압수수색은 그 뒤로 없었다"며 "특검에 넘겨줄 만한 의미 있는 압수물들을 정리하고 있다"고 밝혀 당분간 압수수색이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또 '떡값 검사' 논란과 관련해서도 "현재까지는 김 변호사가 제기한 의혹에서 로비 부분에 대해 더 나아가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해 내부 감찰문제는 특검에 넘기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