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과열권 진입..조정가능성에 대비해야-동부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동민 동부증권 연구원은 7일 단기과열권에 진입했다며 조정가능성에 대비하라고 밝혔다.
임 연구원은 "지수관련 기술적 지표들은 일부 단기과열권에 진입하는 반면 거래량은 정체되고 있고 특히 ADR(상승/하락 종목비율)이 아직 침체권 영역에 머물고 있다"며 "지수 자체의 반등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지만 최근 시가총액 대형주 가운데 소외됐던 종목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인 영향일 뿐 종목확산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기확산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점은 살 종목이 많다고 볼수도 있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는 순환매에 균열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종목확산, 거래량 회복이 동반되지 않는 상황은 반등을 지속시킬 에너지가 소진되고 있는 현상이라고 임 연구원은 분석했다.
그는 "외부적으로 불확실한 요소가 많고 국내 상황도 수급 불안, 금리상승 등 고려해야 할 악재가 많다"며 "추가적인 상승 모멘텀을 확인하지 않는 한 조정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
임 연구원은 "지수관련 기술적 지표들은 일부 단기과열권에 진입하는 반면 거래량은 정체되고 있고 특히 ADR(상승/하락 종목비율)이 아직 침체권 영역에 머물고 있다"며 "지수 자체의 반등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지만 최근 시가총액 대형주 가운데 소외됐던 종목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인 영향일 뿐 종목확산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기확산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점은 살 종목이 많다고 볼수도 있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는 순환매에 균열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종목확산, 거래량 회복이 동반되지 않는 상황은 반등을 지속시킬 에너지가 소진되고 있는 현상이라고 임 연구원은 분석했다.
그는 "외부적으로 불확실한 요소가 많고 국내 상황도 수급 불안, 금리상승 등 고려해야 할 악재가 많다"며 "추가적인 상승 모멘텀을 확인하지 않는 한 조정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