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은행권, 자금불안 한고비 넘겼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월과 11월 최악의 자금난을 겪었던 은행들이 12월 들어 다소 여유를 되찾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내년 상반기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최진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12월 들어 은행 자금부는 한숨을 돌리고 있습니다.
10월과 11월에 겪었던 자금부족 현상에 다소 숨통이 틔였기 때문입니다.
(S1)(제도변경 적응-자산증가 정체)
A은행 자금담당자는 "9월부터 원화유동성비율 규제가 바뀌면서 고생했지만, 12월에는 다소 여유가 생겼다."고 전했습니다.
B은행 관계자도 "자산증가 속도가 주춤해지면서 조달의 부담은 다소 해소되었다."고 밝혔습니다.
(CG1)(은행권 원화대출금 잔액)
(단위:억원, 자료:각 은행)
국민 신한 우리
9월 147조 769 101조8,309 109조4,950
10월 149조9,224 103조726 112조 810
11월 153조2,375 105조3,049 116조 160
12/7 153조2,736 104조7,848 115조9,840
하나 외환
9월 76조9,339 35조7,156
10월 77조4,047 36조6,706
11월 78조7,986 37조6,308
12/7 78조5,460 37조7,206
실제로 11월까지 급증하던 은행들의 원화대출금은 12월 들어 감소하거나 정체되고 있습니다.
조달에 부담을 느낀 은행들이 자산증가의 속도조절로 유동성을 맞추고 있다는 뜻입니다.
(S2)(펀드->예금 자금이동 전망)
C은행 담당자는 "지점과의 내부금리도 대출보다는 예금에 유리하도록 조정하고 있다."면서 "현재의 금리수준이라면 펀드로 몰려갔던 자금이 다시 은행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반면 외화유동성은 여전히 은행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로 국내에 달러를 빌려주던 해외기관들이 돈줄을 틀어쥐고 있기 때문입니다.
(S3)(고금리 달러차입 부담 가중)
일부 은행은 한국은행과의 스왑거래를 통해 울며 겨자먹기로 달러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D은행 관계자는 "11일 미국의 금리인하 이후에 시장상황을 눈여겨 볼 것" 이라면서 "해외차입은 연말로 사실상 끝났기 때문에 내년초부터 재개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진정국면에 들어간 은행의 자금불안이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단계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S4)(내년 상반기까지 불안 지속)
내년 상반기 은행채와 CD만기가 한꺼번에 돌아오는 상황에서 자금이 예금으로 돌아오지 않을 경우 유동성 위기가 재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S5)(영상편집 이성근)
위기는 넘겼지만 국내외 변수의 불안이 여전하기 때문에 당분간 은행의 자금사정은 살얼음판 위를 걷는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WOWTV NEWS 최진욱입니다.
최진욱기자 j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