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태국 방콕에서 해외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계열사 사장,임원 등 50여명과 함께 '해외사업진출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한화는 이 자리에서 해외사업 추진 6대 실행테마를 수립하는 등 향후 추진해 나갈 종합적인 해외사업전략을 수립했다.

현재 그룹 전체 매출의 10% 수준인 해외 매출 비중을 2011년까지 40% 수준으로 끌어올려 명실상부한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장기 목표도 설정했다.

그룹 관계자는 "2008년은 한화의 글로벌경영이 구체화되고 결실을 맺는 시기가 될 것"이라며 "현재 그룹에서 추진 중인 각종 프로젝트들은 사업규모나 그 의미에서 볼 때 한화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이미지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은 글로벌 경영성과의 해

한화는 내년에도 글로벌 경영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올해부터 추진해 왔던 각종 해외사업 부문의 검토와 협상을 마무리 짓고 본격적인 해외사업의 가시화를 이뤄내겠다는 것이다.

한화는 우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해외진출을 위해 선진시장 외에도 상대적 우위를 갖고 진출이 가능한 아시아 및 유럽 지역의 이머징마켓을 중심으로 4개 권역(동유럽,중앙아시아,중동,동남아시아)을 구성했다.

다시 각 권역 별로 11개국을 우선 검토지역으로 지정,현지를 방문해 사업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고 있다.

한화가 이같이 해외진출에 적극적인 이유는 화약,석유화학,유통,레저,금융 등의 기존 업종이 대부분 내수위주 업종으로 향후 치열한 글로벌 경쟁 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내기 부족하다는 경영진의 판단 때문이다.

한화 L&C(옛 한화종합화학)는 최근 이러한 '내부에서의 확장방안'에서 더 나아가 지난달 자동차부품 소재를 생산하는 미국의 아즈델사(社)의 지분 100%를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옛 GE플라스틱)과 PPG인더스트리로부터 6500만달러에 인수,본격적인 해외사업에 나섰다.

한화 L&C는 아즈델사의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해 북미시장 및 외국계 멀티내셔널자동차 회사들과의 거래를 확대하고,총 1500억원을 투입해 2008년 말까지 체코 오스트라바에 자동차 부품 공장을 설립키로 했다.

또 2009년에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도 자동차 부품 공장을 설립해 북미시장에도 진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화L&C는 향후 국제적인 자동차 부품사로 발돋움한다는 전략이다.

한화는 이번 L&C의 인수합병(M&A)을 시작으로 현재 막바지 협상 중인 해외 인수건을 마무리짓는다는 방침이다.

◆해외 비즈니스에 역량 집중

한화건설은 유가 상승에 따라 세계경제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중동지역의 플랜트사업 확대에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국내 주택건설 위주로 형성되어 있는 사업구조를 다각화해 국제적인 건설회사로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또 금융부문에서는 대한생명이 중국 베이징에 사무소를 개소하고 중국 보험시장 진입을 위한 본격적인 검토에 들어갔다.

한화증권은 이미 상하이에 사무소를 개설하고,중국 최대증권사인 해통증권과 포괄적 업무제휴 계약을 체결해 아시아 최대시장인 중국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2007년에는 막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유라시아의 새로운 경제,금융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는 카자흐스탄에 현지 카스피안 그룹과 합작으로 증권사 세븐 리버즈 캐피탈(Seven Rivers Capital)을 설립,2008년 새로운 유라시아 금융시대에 준비하고 있다.

㈜한화는 최근 항공기부품 1억달러 수출 달성을 계기로 내년에도 항공기부품 사업분야에서 국제적인 신뢰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룹 주력사인 한화석유화학은 기존 석유화학사업부문에서의 강점을 살려 해외 업체들과의 합작 등을 통해 해외 현지 생산거점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한화석유화학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7조원 규모의 합작사 설립을 위해 협상을 진행 중이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