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형펀드에도 눈 돌리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로 인한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외국에서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현상이 뚜렷하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장기 침체기를 겪고 있는 채권시장이 내년 이후 틈새 투자시장으로 부상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채권전문가들은 "국내 금리가 내년 초 6%대를 고점으로 하향 안정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주식형펀드의 분산투자 차원에서 혼합형.채권형펀드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추천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채권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며 주식투자만큼의 큰 수익을 내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국내에서 설정된 채권형펀드의 최근 1년 수익률은 2.66%로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를 크게 밑돌고 있다.
2년 수익률도 7.83%,3년 수익률도 9.75%밖에 안 된다.
'아이테일러채권3C-1','하나UBS중기채권투자신탁','CJ굿초이스채권' 등은 최근 1년 수익률이 5%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투자매력이 크게 떨어진다.
더구나 최근 채권시장은 은행권의 자금부족에 따른 은행채 및 CD발행으로 인해 단기이자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상승세는 내년 1분기를 고점으로 하향 안정화 추세로 접어들 전망이다.
한국투자증권 최규삼 애널리스트는 "국고채 3년물의 경우 내년 1분기에 연 6.0%까지 치솟겠지만 이후 완만한 하락세로 돌아서 내년 4분기에는 5.7%대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예상대로 금리의 완만한 하락세가 유지된다면 채권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내년에는 채권투자 수익률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투자증권 정상규 연구원은 "내년 주식시장의 상승탄력이 크게 약화되는 반면 채권시장은 금리의 하향 안정화로 활성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분산투자 차원에서 혼합형펀드 또는 채권형펀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장기 침체기를 겪고 있는 채권시장이 내년 이후 틈새 투자시장으로 부상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채권전문가들은 "국내 금리가 내년 초 6%대를 고점으로 하향 안정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주식형펀드의 분산투자 차원에서 혼합형.채권형펀드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추천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채권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며 주식투자만큼의 큰 수익을 내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국내에서 설정된 채권형펀드의 최근 1년 수익률은 2.66%로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를 크게 밑돌고 있다.
2년 수익률도 7.83%,3년 수익률도 9.75%밖에 안 된다.
'아이테일러채권3C-1','하나UBS중기채권투자신탁','CJ굿초이스채권' 등은 최근 1년 수익률이 5%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투자매력이 크게 떨어진다.
더구나 최근 채권시장은 은행권의 자금부족에 따른 은행채 및 CD발행으로 인해 단기이자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상승세는 내년 1분기를 고점으로 하향 안정화 추세로 접어들 전망이다.
한국투자증권 최규삼 애널리스트는 "국고채 3년물의 경우 내년 1분기에 연 6.0%까지 치솟겠지만 이후 완만한 하락세로 돌아서 내년 4분기에는 5.7%대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예상대로 금리의 완만한 하락세가 유지된다면 채권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내년에는 채권투자 수익률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투자증권 정상규 연구원은 "내년 주식시장의 상승탄력이 크게 약화되는 반면 채권시장은 금리의 하향 안정화로 활성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분산투자 차원에서 혼합형펀드 또는 채권형펀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