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를 잠시 대체할 만한 투자처를 은행에서 찾으려면 호흡을 너무 짧게 가져서는 안 된다.

은행은 보통 3개월 이상 묻어둬야 연 5% 이상의 확정금리를 주기 때문이다.

한두 달간 묻어둘 투자처로는 차라리 증권사 자산관리계좌(CMA)가 실수익률 면에서 유리한 편이다.

3개월 내에 쓸 돈을 예치할 만한 은행 상품으로는 MMDA(수시입출식 예금)와 MMT(콜 특정금전신탁),MMF(머니마켓펀드) 등이 있다.

현재 이 세 상품은 모두 CMA보다 낮은 4% 중후반 정도의 수익률을 보장하고 있다.

단 MMDA에 1억원 이상 맡길 때는 5% 이상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금액에 관계 없이 5% 이상의 확정금리를 받으려면 은행이 발행하는 양도성예금증서(CD)를 구입하는 게 낫다.

최근 CD금리가 급등해 3개월물 CD를 사면 연 5.4% 이상의 이자를 보장받는다.

6개월물은 최대 6%까지,1년물은 6.4%의 수익률을 지급받는다.

원래 CD는 무기명으로 발행되지만 은행에서 개인에게 판매하는 CD는 통장식으로 발행돼 실명 처리된다.

예금자 보호대상이 아니어서 원금을 보호받지 못하지만 예금보험료를 내지 않아 정기예금 금리보다 0.2%포인트 더 높은 게 장점이다.

최근에는 은행들이 예금을 늘리기 위해 한시적으로 CD수익률보다 높은 금리의 특판예금을 출시하고 있다.

외환은행은 'YES큰기쁨예금'에 1000만원 이상 가입하면 영업점장 전결로 연 6.5%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6개월 만기에도 연 6.0%를 준다.

하나은행도 이달 말까지 1000만원 이상 예금자를 대상으로 연 6.5%(1년 만기)를 주고 있다.

또 28일까지 모집금액이 100억원 이상일 경우 연 6.7%를 이자를 지급하는 인터넷 전용인 'e플러스 공동구매 정기예금'을 판매한다.

최저 가입금액이 100만원이다.

저축은행은 은행권 이상의 금리를 준다.

3개월 만기 저축은행 예금 금리는 6% 안팎이어서 5.4~5.7%인 은행 CD 수익률보다 높다.

서울의 스카이저축은행은 3개월짜리 예금에 6.1%의 이자를 주고 있으면 HK저축은행과 한신저축은행,신민저축은행 등은 6.0%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HK저축은행은 한달만 맡겨도 5.8%를 준다.

1년 이상 맡기면 7% 이상의 금리를 주는 저축은행도 많다.

미래저축은행은 서울 상계 지점에서 연 7.2%의 정기예금을 판매하고 있으며 프라임저축은행은 이달 초 1년 정기예금 금리를 연 6.4%에서 연 7.1%로 올렸다.

솔로몬.HK.제일 등은 1년 만기 예금에 7.0%를 주고 있다.

저축은행 예금은 매달 복리로 환산돼 단리 기준인 은행 예금보다 만기 때 실수익률이 높다.

예를 들어 1면 만기에 7.2%인 저축은행 예금은 만기 때 수익률이 7.2%가 아니라 7.44%가 된다.

저축은행 예금도 은행예금처럼 1인당 5000만원까지 원금이 보장된다.

따라서 원금을 4600만원 이하로 여러 저축은행에 나눠서 맡기면 원금을 떼일 우려가 없다.

저축은행별 금리는 저축은행중앙회 홈페이지(fsb.or.kr)에서 비교해 볼 수 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