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투자 위축 ‥ 땅값.反외자 정서 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높은 땅값과 반외자 정서 때문에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가 위축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11월호)에 실린 '외국인직접투자의 변동요인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99억달러로 정점을 이뤘다.
이후 2001~2003년 중 34~44억달러 수준으로 낮아졌다가 2004년 90억달러로 다시 증가했다.
그러나 2005년(70억달러)부터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 2006년에는 50억달러로 내려앉았다.
보고서는 "2005년부터 외국인직접투자가 감소한 것은 2005∼2006년에 걸쳐 높은 상승세를 보인 땅값 때문"이라며 "외국인 직접투자를 늘리려면 경제 전반에 고비용 구조를 발생시키는 땅값 안정이 필수"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또 "2005년 후반 론스타의 탈세혐의로 부각된 외국인 투자의 부당한 차익추구 행위는 효율적으로 규율해야 하지만 반외자 정서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완기자 psw@hankyung.com
14일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11월호)에 실린 '외국인직접투자의 변동요인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99억달러로 정점을 이뤘다.
이후 2001~2003년 중 34~44억달러 수준으로 낮아졌다가 2004년 90억달러로 다시 증가했다.
그러나 2005년(70억달러)부터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 2006년에는 50억달러로 내려앉았다.
보고서는 "2005년부터 외국인직접투자가 감소한 것은 2005∼2006년에 걸쳐 높은 상승세를 보인 땅값 때문"이라며 "외국인 직접투자를 늘리려면 경제 전반에 고비용 구조를 발생시키는 땅값 안정이 필수"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또 "2005년 후반 론스타의 탈세혐의로 부각된 외국인 투자의 부당한 차익추구 행위는 효율적으로 규율해야 하지만 반외자 정서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완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