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펀드 시황] 액티브 주식형 -2.66%로 저조 … 인도펀드 3.47%로 두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의 금리 인하폭에 대한 실망으로 글로벌 증시가 다시 조정받으면서 지난주 주식형펀드 수익률은 전주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국내펀드보다 해외펀드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16일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지난 한주간 국내 주식형펀드는 평균 2.60%의 손실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전주 플러스를 냈던 해외 주식형펀드도 지난주에는 3.43% 손실을 봤다.
지역별로는 엇갈렸다.
글로벌 증시 조정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인도펀드가 전주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중국펀드는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국내펀드
주식형과 혼합형의 부진 속에서도 채권형펀드는 약보합으로 선전했다.
채권형펀드는 지난 한 주간 0.15% 수익률을 냈다.
반면 주식형펀드와 혼합형펀드는 각각 -2.60%,-0.69%로 손실을 보였다.
주식형펀드 중에서는 액티브펀드 수익률이 -2.66%로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펀드 편입비중이 높은 대형주가 지난주 중소형주에 비해 큰 폭 하락한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이에 비해 보수적인 인덱스펀드는 -1.74% 하락에 그쳤다.
혼합형펀드 중에서는 주식비중이 높은 주식혼합형 펀드가 -0.97%,채권혼합형 펀드가 -0.58%였다.
설정액 50억원 이상의 국내 주식형펀드 중에서는 '기은SG그랑프리포커스금융주식'이 1.17%의 수익률로 지난 한 주간 1위를 기록했다.
1주일 수익률이 플러스인 펀드는 '기은SG그랑프리포커스금융주식' 외에 'KB2000시대외국인선호주주식 클래스-A'(0.37%) 'KB2000시대외국인선호주주식 클래스-C'(0.36%) 등 3개에 불과했다.
중소형주 편입비율이 높은 '유리스몰뷰티주식 A'(-0.10%) '한국밸류10년투자연금주식 1'(-0.10%) '신영고배당주식 A형'(-0.26%) 등이 비교적 상위에 랭크됐다.
반면 대형주 편입비율이 높은 펀드들은 대거 하위로 처졌다.
◆해외펀드
인도펀드가 지난 한 주간 3.47% 수익률을 보이며 두각을 나타냈다.
인도펀드는 이로써 1년 수익률이 72.61%로 중국펀드의 같은 기간 수익률(80.49%)을 근소한 차로 추격했다.
유럽 이머징마켓과 중동아프리카 펀드도 각각 2.12%,1.68% 수익률을 냈다.
러시아펀드(1.33%) 유럽주식펀드(0.96%) 브라질펀드(0.47%) 등도 선전했다.
반면 중국펀드는 지난 한 주간 -7.17%로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이에 따라 1개월 수익률이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베트남펀드도 -2.28% 손실을 냈으며 베트남과 중국에 분산 투자하는 베트남차이나펀드도 6.60%의 손실률을 나타냈다.
이 밖에 아시아퍼시픽펀드(-5.03%) 해외리츠펀드(-2.98%) 등도 비교적 손실폭이 컸다.
연초 이후 수익률이 가장 저조한 일본펀드는 지난주 1.77%의 손실률을 보였다.
설정액 50억원 이상의 해외 주식형펀드 중에서는 '미래에셋인디아솔로몬주식 1종류I' 등 미래에셋의 인도 관련 펀드 4개가 4%대의 수익률로 나란히 1~4위를 차지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