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우리나라는 2003년부터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정부 주도의 RFID 확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범사업은 초기 도입단계에서 확산 기반을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다.

15개 기술개발 및 기반 구축사업을 추진한 결과 RFID 장비 국산화율을 26%(2004년)에서 96%(2006년)까지 끌어올렸다.

실제로 RFID를 적용한 기업들은 상당한 경영성과를 거두고 있다.

국내 최대 3자 물류 회사인 글로비스㈜는 RFID를 도입해 국내 부품공장과 완성차 공장을 연결하는 실시간 물류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연간 92억원의 비용 절감효과를 거뒀다.

삼성전자의 경우 중국 내 휴대폰 복제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폰 제조에 필요한 금형을 RFID시스템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로써 1조원 규모의 잠재적 손실을 예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기아자동차가 두드러진 성과를 거뒀다.

기아자동차는 부품조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RFID 협업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협력사와의 정확한 자재정보 공유를 가능케 해 재고비용을 낮추고 발주율을 크게 향상시켰다.

기아자동차는 협력사 전반으로 이를 확대할 경우,연간 4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적용 확대 계획을 수립 중이다.

RFID가 가져올 세상의 변화는 놀랍지만,사실 넘어야 할 장벽도 크다.

가격문제야 기술이 발전되면 해결되겠지만,정부의 예상과 달리 일반기업의 확산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더디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올해 8월 산자부는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RFID 확산방안'을 발표했다.

RFID 확산방안은 △실질적인 RFID 적용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6대 선도 산업 중심의 확산사업 추진 △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 지원 △태그 가격의 조기 인하를 유도할 수 있는 기술개발 △국제표준화 논의에 대응한 국내표준 개발 및 산업별 가이드라인 보급 △기업의 RFID 도입 투자를 유인할 수 있는 새로운 세제지원 방안 검토 △업계 중심의 RFID 추진체계 구축 등이다.

정부가 내놓은 확산 방안을 기점으로 RFID사업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기존 사업이 정부 주도로 이뤄졌다면 이번 사업은 수요자,즉 기업 중심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산업별로 RFID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따른 문제점을 꼼꼼하게 분석해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확산사업은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고 있다.

먼저,산자부와 한국전자거래협회는 사업자로 삼성테크윈컨소시엄(반도체분야),기아자동차컨소시엄(자동차분야),한국파렛트풀컨소시엄(유통·물류분야)을 각각 선정했다.

이 밖에 현대하이스코,신원,한솔제지,삼성테스코,유통물류진흥원 등이 RFID 확산에 적극 동참하고 나섰다.

정부는 RFID 도입 적합도가 높고 확산 효과가 크다고 판단되는 가전,자동차,식품,유통,물류,섬유의 6개 산업분야를 선정해 지원할 방침이다.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심으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 결과물을 활용해 향후 2,3차 벤더인 중소기업군으로 협업시스템 구축사업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중소기업 지원 정책은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다.

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용 RFID 패키지'를 개발하고,표준 가이드라인도 제정해 보급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의 비용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세제지원 방안도 별도로 검토 중이다.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태그 가격을 인하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태그의 속성과 업종별 특성을 감안한 저가의 태그를 적극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신재섭 기자 sh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