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데스크] 한국교육 '역주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핀란드는 수년 내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를 없애기로 했다.
'능력관리부(Ministry of Competence)'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얼마 전 방한한 마우라 티우라 핀란드의회 미래상임위원장은 "산업시대에 만들어진 기존 교육제도로는 다가올 후기 정보화시대에 살아남기 힘들다"며 대대적인 교육개혁을 예고했다.
그는 "유치원에서 대학과정에 이르는 학습을 의미하는 '교육'은 구시대적인 발상"이라며 "따라서 학교교육.직장생활.은퇴 후 생활로 이어지는 생애 전 과정을 관리하는 능력관리부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3년부터 3년 연속 국가경쟁력 부문 1위를 차지했던 북구의 대표적인 강소국 핀란드.그러나 지난해 1위 자리를 빼앗긴 후 위기를 느끼고 있다.
핀란드는 국가경쟁력이 이처럼 떨어진 이유를 '낙후된' 교육시스템에서 찾고 있다.
지난해 핀란드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오른 스웨덴.그 경쟁력의 뒷심은 역시 교육이었다.
사회주의 색채가 강해 '경쟁'보다 '평등'을 중시하는 스웨덴이지만 교육에서만큼은 달랐다.
대표적인 교육제도로 '자율학교''학교선택권'을 들 수 있다.
한국의 특성화학교 정도로 이해하면 되는 자율학교의 교육목표는 일반 공립학교와 비슷하지만 개인이나 기업,학부모조합 등이 학교를 자율 운영한다는 게 큰 차이점이다.
때문에 수학 언어 등 학부모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를 집중 교육할 수 있다.
덕분에 학생 성적은 크게 향상됐고 학부모사이에 인기도 높아 스톡홀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중이다.
현재 초.중학생의 8%,고등학생의 13%가 자율학교에 다닌다.
학교선택권도 스웨덴 교육경쟁력의 핵심이다.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학생들이 원하는 학교를 갈 수 있도록 한 이 제도는 학교 간 경쟁을 유도하고 있다.
페르 덜베리 스웨덴 국립교육청장은 "스웨덴은 학생 수에 따라 정부의 재정지원액이 결정되는 만큼 서로 '좋은 학교'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고 강조했다.
핀란드 스웨덴뿐만 아니다.
요즘 프랑스 영국 일본 미국 등 선진국들이 너나 없이 교육개혁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학교의 '책임과 경쟁'을 강조한 블룸버그 미국 뉴욕시장은 최근 학교운영 성적이 나쁜 6개 학교 문을 닫기로 한 데 이어 내년까지 20개 학교를 추가 폐교하기로 했다.
취임 일성으로 교육개혁을 강조한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도 공립학교의 경쟁력을 높이기위해 성적이 일정 기준에 미달하는 학교는 없애기로 했다.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고등교육의 평준화 때문에 대학경쟁력이 크게 약화됐다"며 고등교육개혁에 힘을 쏟고 있다.
일본은 '유토리(여유)'교육을 폐지하고 대신 수업시간을 대폭 늘려 학력 향상을 꾀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은 어떤가.
선진국들이 경쟁을 통해 교육시스템을 강화하며 저만치 앞서 달려가고 있는 데 반해 한국은 여전히 평준화의 망령에 발목이 잡힌 채 옴싹달싹 못하고 있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흐름에 역행하고 있는 것이다.
부디 이틀 후 뽑힐 대통령 당선자가 한국교육의 위기를 절감하고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교육개혁에 뒀으면 한다.
교육은 21세기 한국을 먹여살릴 유일한 산업이기 때문이다.
김수찬 < 사회부 차장 >
'능력관리부(Ministry of Competence)'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얼마 전 방한한 마우라 티우라 핀란드의회 미래상임위원장은 "산업시대에 만들어진 기존 교육제도로는 다가올 후기 정보화시대에 살아남기 힘들다"며 대대적인 교육개혁을 예고했다.
그는 "유치원에서 대학과정에 이르는 학습을 의미하는 '교육'은 구시대적인 발상"이라며 "따라서 학교교육.직장생활.은퇴 후 생활로 이어지는 생애 전 과정을 관리하는 능력관리부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3년부터 3년 연속 국가경쟁력 부문 1위를 차지했던 북구의 대표적인 강소국 핀란드.그러나 지난해 1위 자리를 빼앗긴 후 위기를 느끼고 있다.
핀란드는 국가경쟁력이 이처럼 떨어진 이유를 '낙후된' 교육시스템에서 찾고 있다.
지난해 핀란드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오른 스웨덴.그 경쟁력의 뒷심은 역시 교육이었다.
사회주의 색채가 강해 '경쟁'보다 '평등'을 중시하는 스웨덴이지만 교육에서만큼은 달랐다.
대표적인 교육제도로 '자율학교''학교선택권'을 들 수 있다.
한국의 특성화학교 정도로 이해하면 되는 자율학교의 교육목표는 일반 공립학교와 비슷하지만 개인이나 기업,학부모조합 등이 학교를 자율 운영한다는 게 큰 차이점이다.
때문에 수학 언어 등 학부모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를 집중 교육할 수 있다.
덕분에 학생 성적은 크게 향상됐고 학부모사이에 인기도 높아 스톡홀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중이다.
현재 초.중학생의 8%,고등학생의 13%가 자율학교에 다닌다.
학교선택권도 스웨덴 교육경쟁력의 핵심이다.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학생들이 원하는 학교를 갈 수 있도록 한 이 제도는 학교 간 경쟁을 유도하고 있다.
페르 덜베리 스웨덴 국립교육청장은 "스웨덴은 학생 수에 따라 정부의 재정지원액이 결정되는 만큼 서로 '좋은 학교'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고 강조했다.
핀란드 스웨덴뿐만 아니다.
요즘 프랑스 영국 일본 미국 등 선진국들이 너나 없이 교육개혁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학교의 '책임과 경쟁'을 강조한 블룸버그 미국 뉴욕시장은 최근 학교운영 성적이 나쁜 6개 학교 문을 닫기로 한 데 이어 내년까지 20개 학교를 추가 폐교하기로 했다.
취임 일성으로 교육개혁을 강조한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도 공립학교의 경쟁력을 높이기위해 성적이 일정 기준에 미달하는 학교는 없애기로 했다.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고등교육의 평준화 때문에 대학경쟁력이 크게 약화됐다"며 고등교육개혁에 힘을 쏟고 있다.
일본은 '유토리(여유)'교육을 폐지하고 대신 수업시간을 대폭 늘려 학력 향상을 꾀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은 어떤가.
선진국들이 경쟁을 통해 교육시스템을 강화하며 저만치 앞서 달려가고 있는 데 반해 한국은 여전히 평준화의 망령에 발목이 잡힌 채 옴싹달싹 못하고 있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흐름에 역행하고 있는 것이다.
부디 이틀 후 뽑힐 대통령 당선자가 한국교육의 위기를 절감하고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교육개혁에 뒀으면 한다.
교육은 21세기 한국을 먹여살릴 유일한 산업이기 때문이다.
김수찬 < 사회부 차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