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소비자대상-하반기ㆍ上] 대신증권 'U-사이보스 글로벌'‥온라인 증권거래 선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신증권의 사이버 거래시스템인 'U-사이보스 글로벌'은 지난 10년 동안 국내 최고의 온라인 증권거래 프로그램으로 시장을 선도해오고 있다.
1998년 온라인 증권 거래 실적이 업계 최초로 1조원을 돌파했으며 올 10월 말 현재 누적 거래액 3300조원을 기록했다.
또 하루 평균 접속자 수가 9만5000여명에 이르고 있다.
'U-사이보스 글로벌'은 사이보스 시리즈의 최신 버전이다.
1997년 윈도95 기반의 PC통신용으로 처음 개발된 후 수차례의 업그레이드를 거쳐 완성된 새로운 프로그램이다.
앞으로도 하루 수십 건씩 전해지는 고객 제안을 반영해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실시할 방침이라고 대신증권 측은 밝혔다.
대신증권은 2004년 4월 대만 폴라리스증권에 중국어 버전 'U-사이보스' 글로벌 프로그램을 수출했으며 2005년 12월엔 태국 증권거래소 자회사인 셋트레이드에 온라인 선물거래시스템 수출에 성공하는 등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U-사이보스 글로벌'은 개발 초기부터 초보 투자자도 전문가처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객장 시스템을 안방에 그대로 옮겨 놓는다는 개념을 도입했다.
증권사 영업직원과 펀드매니저 등을 비롯해 개인투자자와 취재기자 대학생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이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객지향형으로 개발됐다.
'U-사이보스 글로벌'의 서비스 특징은 '글로벌화'와 '인공지능화'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해외 증시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해외 증시 분석 기능을 강화했다.
국내 종목과 비교 가능한 '동종업종의 해외 종목 시세'와 함께 '한국과 해외 증시 간 지수 연관성''종목 간 동조화 분석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차트 기능도 강화해 주요국 지수 및 종목 간 비교 차트를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는 기능도 선보였다.
또 미래의 경제 및 주가를 예측할 수 있는 '경제통계 서비스'와 사용자가 마우스로 그림을 그려 차트를 만들면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종목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패턴매치 검색',자연어 문장 검색을 활용해 초보자들도 손쉽게 종목을 검색할 수 있는 '이지파인더' 등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독창적인 기능이 제공된다.
최근엔 과거 급등락을 나타낸 종목과 유사한 주가 흐름을 보이는 종목들을 차트 분석을 통해 찾아내는 '패턴검색 서비스'도 시작했다.
이 밖에 △일정한 조건을 지정해 놓으면 외국인 매매와 프로그램 매매 동향 등 시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뉴스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해 통보해주는 '라이브 마켓뉴스' △하나의 화면에서 최대 30개 종목의 차트를 동시에 조회할 수 있는 '매트릭스' △온라인 동영상 프로그램인 'E-아카데미 서비스' 등의 다양한 기능이 부가됐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1998년 온라인 증권 거래 실적이 업계 최초로 1조원을 돌파했으며 올 10월 말 현재 누적 거래액 3300조원을 기록했다.
또 하루 평균 접속자 수가 9만5000여명에 이르고 있다.
'U-사이보스 글로벌'은 사이보스 시리즈의 최신 버전이다.
1997년 윈도95 기반의 PC통신용으로 처음 개발된 후 수차례의 업그레이드를 거쳐 완성된 새로운 프로그램이다.
앞으로도 하루 수십 건씩 전해지는 고객 제안을 반영해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실시할 방침이라고 대신증권 측은 밝혔다.
대신증권은 2004년 4월 대만 폴라리스증권에 중국어 버전 'U-사이보스' 글로벌 프로그램을 수출했으며 2005년 12월엔 태국 증권거래소 자회사인 셋트레이드에 온라인 선물거래시스템 수출에 성공하는 등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U-사이보스 글로벌'은 개발 초기부터 초보 투자자도 전문가처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객장 시스템을 안방에 그대로 옮겨 놓는다는 개념을 도입했다.
증권사 영업직원과 펀드매니저 등을 비롯해 개인투자자와 취재기자 대학생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이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객지향형으로 개발됐다.
'U-사이보스 글로벌'의 서비스 특징은 '글로벌화'와 '인공지능화'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해외 증시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해외 증시 분석 기능을 강화했다.
국내 종목과 비교 가능한 '동종업종의 해외 종목 시세'와 함께 '한국과 해외 증시 간 지수 연관성''종목 간 동조화 분석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차트 기능도 강화해 주요국 지수 및 종목 간 비교 차트를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는 기능도 선보였다.
또 미래의 경제 및 주가를 예측할 수 있는 '경제통계 서비스'와 사용자가 마우스로 그림을 그려 차트를 만들면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종목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패턴매치 검색',자연어 문장 검색을 활용해 초보자들도 손쉽게 종목을 검색할 수 있는 '이지파인더' 등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독창적인 기능이 제공된다.
최근엔 과거 급등락을 나타낸 종목과 유사한 주가 흐름을 보이는 종목들을 차트 분석을 통해 찾아내는 '패턴검색 서비스'도 시작했다.
이 밖에 △일정한 조건을 지정해 놓으면 외국인 매매와 프로그램 매매 동향 등 시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뉴스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해 통보해주는 '라이브 마켓뉴스' △하나의 화면에서 최대 30개 종목의 차트를 동시에 조회할 수 있는 '매트릭스' △온라인 동영상 프로그램인 'E-아카데미 서비스' 등의 다양한 기능이 부가됐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