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 횡령 등 악재 이후 상호변경 잇따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경영진의 대규모 횡령 혐의 발생 이후 상호를 변경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개인적인 용도로 회삿돈을 사용하고, 경영권을 매각하는 등 상습적으로 변경상장을 시도하는 기업들도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18일 금융감독원 등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현재까지 상호를 변경했거나 바꿀 예정인 상장사 총수는 모두 120여건에 이른다.
이 중에서 경영진의 횡령 혐의 등 악재가 발생한 이후 변경상장했거나 할 예정인 상장사는 티티씨아이(옛 젠컴이앤아이), 세종로봇, 에코에너지(유니보스), 삼협글로벌(에프와이디), 베스트플로우(여리인터내셔널), 엔블루(월드조인트), 코스모스피엘씨(페트로홀딩스), 유한NHS(블랙미디어, 실미디어), 삼성수산(티에스엠홀딩스) 등으로 나타났다.
젠컴이앤아이는 이번주 첫 거래일부터 티티씨아이로 상호를 변경했다. 젠컴이앤아이는 그러나 지난 6일 공시를 통해 "전직 임원이나 제3자로 추정되는 인물이 회사 보통 예금에서 40억원 가량을 무단으로 인출한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 53억원 규모의 어음을 분실한 사실을 지난달 30일(금요일) 장 마감 후 공개해 '올빼미 공시'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세종로봇은 오는 20일 플러스프로핏으로 변경상장될 예정이다. 세종로봇의 전 대표이사 유상호씨는 지난달 중순께 18억원 가량의 배임 및 횡령 혐의가 확인됐고, 회사측이 특별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의 업무상 횡령으로 고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는 요즘 개인투자자와 소송을 벌이고 있다. 이달 6일 개인 부일환씨가 지난 9월 27일 열린 정기주주총회 별지목록 기재 결의사항에 대해 주주총회 결의 취소 청구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이 소송으로 인해 변경상장 일정도 당초 7일에서 20일로 연기됐다. 이어 부일환씨 외 3명은 이사 및 감사의 해임과 새로운 이사 선임을 목적으로 한 임시주주총회 소집허가 청구소송을 지난 1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한NHS는 올해 들어서만 상호를 두 번이나 변경한 경우다. 지난 7월 실미디어에서 블랙미디어로 변경된 지 두 달 만에 지금의 유한NHS로 이름을 바꿨다. 당시 LG가 구본호씨의 투자설이 나돌았던 블랙미디어는 유한NHS로 변경상장하기 직전에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철회, 9월27일 코스닥시장본부로부터 불공정공시법인으로 지정됐었다. 이후에도 DVD판권 및 배경음악 공급원 양도계약을 지연 공시해 또 다시 불공정공시법인으로 지정, 이달 5일 하루 동안 주권매매가 정지된 바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유한NHS는 지난달 20일 전 대표이사였던 김주현 실홀딩스 대표이사를 '133억원 가량의 횡령 및 배임 혐의'가 있다며 검찰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하지만 당사자인 김 대표는 이러한 혐의를 전면 부인했고, 양측의 공방은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다.
베스트플로우는 지난 11월초 상호를 변경하기 전인 여리인터내셔널의 전 대표이사 김은모씨를 회삿돈 103억원을 횡령 및 배임한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
코스모스피엘씨(옛 페트로홀딩스)도 전 대표이사인 황우현씨가 회사에서 보관중이던 양도성예금증서 30억원 가량을 횡령했다고 지난 10월 밝힌 뒤 아예 상호를 변경했다.
지난달 2일 상호변경된 엔블루(옛 월드 조인트)의 경우에는 전 최대주주가 자금 횡령 등 혐의로 연초 구속기소돼 지난 6월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징역 향을 선고 받았었다.
이밖에 삼협글로벌(옛 에프와이디)과 삼성수산(옛 티에스엠홀딩스)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이후 변경상장했다. 삼협글로벌은 최대주주 주식양수도계약 정정내용을 신고하지 않아 지난 9월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었고, 삼성수산은 전 사외이사의 횡령 혐의 발생을 신고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6월8일 불성실공시법인이 됐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18일 금융감독원 등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현재까지 상호를 변경했거나 바꿀 예정인 상장사 총수는 모두 120여건에 이른다.
이 중에서 경영진의 횡령 혐의 등 악재가 발생한 이후 변경상장했거나 할 예정인 상장사는 티티씨아이(옛 젠컴이앤아이), 세종로봇, 에코에너지(유니보스), 삼협글로벌(에프와이디), 베스트플로우(여리인터내셔널), 엔블루(월드조인트), 코스모스피엘씨(페트로홀딩스), 유한NHS(블랙미디어, 실미디어), 삼성수산(티에스엠홀딩스) 등으로 나타났다.
젠컴이앤아이는 이번주 첫 거래일부터 티티씨아이로 상호를 변경했다. 젠컴이앤아이는 그러나 지난 6일 공시를 통해 "전직 임원이나 제3자로 추정되는 인물이 회사 보통 예금에서 40억원 가량을 무단으로 인출한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 53억원 규모의 어음을 분실한 사실을 지난달 30일(금요일) 장 마감 후 공개해 '올빼미 공시'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세종로봇은 오는 20일 플러스프로핏으로 변경상장될 예정이다. 세종로봇의 전 대표이사 유상호씨는 지난달 중순께 18억원 가량의 배임 및 횡령 혐의가 확인됐고, 회사측이 특별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의 업무상 횡령으로 고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는 요즘 개인투자자와 소송을 벌이고 있다. 이달 6일 개인 부일환씨가 지난 9월 27일 열린 정기주주총회 별지목록 기재 결의사항에 대해 주주총회 결의 취소 청구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이 소송으로 인해 변경상장 일정도 당초 7일에서 20일로 연기됐다. 이어 부일환씨 외 3명은 이사 및 감사의 해임과 새로운 이사 선임을 목적으로 한 임시주주총회 소집허가 청구소송을 지난 1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한NHS는 올해 들어서만 상호를 두 번이나 변경한 경우다. 지난 7월 실미디어에서 블랙미디어로 변경된 지 두 달 만에 지금의 유한NHS로 이름을 바꿨다. 당시 LG가 구본호씨의 투자설이 나돌았던 블랙미디어는 유한NHS로 변경상장하기 직전에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철회, 9월27일 코스닥시장본부로부터 불공정공시법인으로 지정됐었다. 이후에도 DVD판권 및 배경음악 공급원 양도계약을 지연 공시해 또 다시 불공정공시법인으로 지정, 이달 5일 하루 동안 주권매매가 정지된 바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유한NHS는 지난달 20일 전 대표이사였던 김주현 실홀딩스 대표이사를 '133억원 가량의 횡령 및 배임 혐의'가 있다며 검찰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하지만 당사자인 김 대표는 이러한 혐의를 전면 부인했고, 양측의 공방은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다.
베스트플로우는 지난 11월초 상호를 변경하기 전인 여리인터내셔널의 전 대표이사 김은모씨를 회삿돈 103억원을 횡령 및 배임한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
코스모스피엘씨(옛 페트로홀딩스)도 전 대표이사인 황우현씨가 회사에서 보관중이던 양도성예금증서 30억원 가량을 횡령했다고 지난 10월 밝힌 뒤 아예 상호를 변경했다.
지난달 2일 상호변경된 엔블루(옛 월드 조인트)의 경우에는 전 최대주주가 자금 횡령 등 혐의로 연초 구속기소돼 지난 6월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징역 향을 선고 받았었다.
이밖에 삼협글로벌(옛 에프와이디)과 삼성수산(옛 티에스엠홀딩스)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이후 변경상장했다. 삼협글로벌은 최대주주 주식양수도계약 정정내용을 신고하지 않아 지난 9월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었고, 삼성수산은 전 사외이사의 횡령 혐의 발생을 신고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6월8일 불성실공시법인이 됐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