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의 선행지표 성격인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가 국제 유가 및 곡물가격 앙등의 영향으로 3년만에 최고의 급등세를 기록했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가공단계별 물가 동향'에 따르면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2.0% 상승, 2004년 11월(12.9%)이후 가장 상승폭이 컸다.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상승률은 7월 1.9%에서 8월 1.0%로 낮아졌던 것이 9월 4.7%로 상승국면에 접어들더니 10월에는 7.8%의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냈다.

가동 단계별로 보면 원재료 물가는 작년 11월에 비해 무려 31.0% 폭등했으며 이중 농산식품 수입품은 41.1%, 원유 등 연료광물의 수입품은 40.7% 뛰었다.

중간재 물가도 석유 및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지속하며 1년 사이에7.2%나 높아졌다.

한은은 "중국의 수요 증가와 운임 상승의 영향으로 수입농산품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데다 국제 유가 상승으로 수입광산품 가격도 크게 높아졌다"며 "당분간은 높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바이유 기준 국제 유가는 10월 77.2달러에서 11월 86.8달러로 10달러 가까이 상승했다

재화부문의 종합적인 인플레이션 측정지표인 최종재 물가는 작년 11월에 비해 2.9% 상승했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