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이명박시대] '이명박 특검법' 어떻게 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20일 'BBK 특검'과 관련,"특검에서 무혐의로 확실히 다시 나타나면 이 문제를 제기했던 사람이 책임져야 한다"고 말해 주목된다.
이 당선자는 이날 한나라당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식 인사말을 통해 "특검법안이 통과됐지만 특검이 헌법에 위배되는지,안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나는 틀림없이 법이 공정하게 제대로 집행되면 똑같은 결과(무혐의)가 나오고,그렇게 나올 수밖에 없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고 자신의 결백을 강조했다.
이 같은 언급은 자신의 BBK 연루 의혹을 제기하며 국회에서 특검법 통과를 강행한 대통합민주신당 측과 정동영 대선 후보를 정면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나라당은 노무현 대통령에게 BBK 특검법 거부권 행사를 건의했다.
강재섭 대표는 KBS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대통령에 당선된 사람을 놓고 특검이라든지 다시 청문회를 하는 것 비슷하게 후벼파는 일은 국론을 분열시키는 저급 정치라고 생각한다"며 "노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면서 국민통합을 위해 이런 법은 거부권을 행사해 줬으면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강 대표는 "노 대통령이 여러가지 잘한 점과 잘못한 점이 있지만,정권 인수인계를 잘 해 새 정권이 국민이 선택한 가치를 잘 발의할 수 있도록 정치권의 갈등을 없애는 것이 큰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런 정의로운 결단을 해줬으면 하고 정식으로 건의한다"고 밝혔다.
나경원 대변인도 "특검의 성립 요건이던 김경준씨가 스스로 말을 부인하고 있고 이미 통과된 특검법안 자체도 원천 무효인 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한나라당의 특검법안 거부권 행사 요청과 관련,"이와 관련해 새롭게 추가로 논의된 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특검법을 수용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이미 밝힌 바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따라 BBK 특검법은 정치권에서 재논의가 이뤄지지 않는 한 당초 계획대로 오는 2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공포될 예정이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
이 당선자는 이날 한나라당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식 인사말을 통해 "특검법안이 통과됐지만 특검이 헌법에 위배되는지,안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나는 틀림없이 법이 공정하게 제대로 집행되면 똑같은 결과(무혐의)가 나오고,그렇게 나올 수밖에 없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고 자신의 결백을 강조했다.
이 같은 언급은 자신의 BBK 연루 의혹을 제기하며 국회에서 특검법 통과를 강행한 대통합민주신당 측과 정동영 대선 후보를 정면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나라당은 노무현 대통령에게 BBK 특검법 거부권 행사를 건의했다.
강재섭 대표는 KBS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대통령에 당선된 사람을 놓고 특검이라든지 다시 청문회를 하는 것 비슷하게 후벼파는 일은 국론을 분열시키는 저급 정치라고 생각한다"며 "노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면서 국민통합을 위해 이런 법은 거부권을 행사해 줬으면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강 대표는 "노 대통령이 여러가지 잘한 점과 잘못한 점이 있지만,정권 인수인계를 잘 해 새 정권이 국민이 선택한 가치를 잘 발의할 수 있도록 정치권의 갈등을 없애는 것이 큰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런 정의로운 결단을 해줬으면 하고 정식으로 건의한다"고 밝혔다.
나경원 대변인도 "특검의 성립 요건이던 김경준씨가 스스로 말을 부인하고 있고 이미 통과된 특검법안 자체도 원천 무효인 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한나라당의 특검법안 거부권 행사 요청과 관련,"이와 관련해 새롭게 추가로 논의된 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특검법을 수용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이미 밝힌 바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따라 BBK 특검법은 정치권에서 재논의가 이뤄지지 않는 한 당초 계획대로 오는 2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공포될 예정이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